자율주행 스타트업과 국내 자율주행 기술 주도권 확보 추진
9월 중 다른 국내 스타트업과도 순차적 업무협약 체결 계획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자율주행 경쟁력 강화 및 국내외 판로 공동개척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국내 자율주행 기술 주도권을 선제적으로 확보해 글로벌 선도 기업과 기술 격차를 좁혀가자는 취지에서 성사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전세계적인 '자율주행 상용화' 흐름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일선 스타트업과 전방위적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선다.
![]() |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자율주행 경쟁력 강화 및 국내외 판로 공동개척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양사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자율주행 차량 연동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R&D) 수행, 국내 자율주행 기술 우선 도입에 기반한 사업기회 공동 발굴 추진, 자율주행 차량 제작 및 공급 등을 주요 협력과제로 선정했다.
중장기적 목표는 오는 2030년까지 약 100대 이상의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자율주행 차량 기반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이다. 내년 말까지 국산화 비중이 90% 이상인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한국형 레벨4 자율주행차 'ROii' 10대를 정부와 공공기관, 운송사업자 등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ROii는 다음 달 열리는 '2025 APEC 정상회담' 공식 자율주행자동차로 선정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달 중 다른 국내 자율주행 기업들과도 순차적으로 업무협약을 맺어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을 확대할 계획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해외 자율주행 선도기업들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속도 이상으로 상용화에 나서며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만큼 차량제조사와 개발사, 플랫폼사 등이 유기적으로 협업하면서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에 많은 산업영역에서 해외 선진 기술을 도입하여 국내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술을 국산화하면서 발전시킨 것처럼 자율주행도 자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생적 혁신'의 방향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