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은행(BOJ)이 18~19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5%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관세 정책 여파가 본격적으로 일본 경제에 미칠 시점이기 때문에, 기업의 설비 투자나 임금 인상 등 경기 전반의 움직임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판단이다.
BOJ는 올해 1월 정책금리를 0.25%에서 0.5%로 올린 뒤 직전 7월 회의까지 네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내부적으로는 "9월 인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확산돼 있으며, 시장에서도 9월 인상은 없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 |
일본은행 [사진=로이터 뉴스핌] |
◆ 관세 영향 주시...물가 압력은 '일시적'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된 가운데, BOJ는 자동차 등 주력 기업들이 수익 전망을 어떻게 수정할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히미노 료조 부총재는 9월 초 연설에서 "관세 영향은 이제부터 미치게 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은 7월까지 8개월 연속 3%를 웃돌았다. 물가 압력이 뚜렷하지만, BOJ는 여전히 "상승세는 일시적"이라는 판단을 고수하고 있다. 당장 추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은 아니라는 것이다.
◆ 시장 "연내 인상 유력, 이르면 10월"
다만 BOJ 내부적으로는 10월 이후 공개되는 데이터에 따라 금리 인상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도 일부 제기된다.
시장 역시 "연내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으며 "빠르면 10월 인상"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이 이코노미스트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60%가 "연내 인상"을 예상했다. 특히 10월을 꼽은 비율이 36%로 가장 많았고, 12월은 22%로 뒤를 이었다.
토탄리서치와 토탄ICAP의 조사에서는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 시기가 9월 회의 1%, 10월 33%, 12월 32%, 내년 1월 21%였다.
이처럼 10월에 대한 기대가 집중되는 배경에는 인건비 상승과 물가 압력 지속, 그리고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화됐다는 점 등이 있다.
![]()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정치 불확실성이 변수
정치적 불확실성은 가장 큰 변수의 하나로 꼽힌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사임을 선언하면서, 내달 4일 자민당 총재 선거를 거쳐 새로운 지도 체제가 들어설 예정이다.
집권당 총재가 총리를 맡는 일본의 정치 구조상 자민당 총재 선거는 일본의 총리를 뽑는 선거나 마찬가지다.
새 정권이 중의원과 참의원 양원에서 소수 여당이라는 제약을 안고 출범하는 만큼, 어떤 경제·재정 정책을 내놓을지가 향후 일본 경제와 물가, 금융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BOJ의 정책 결정에도 신중론이 힘을 얻을 수 있다.
다이와종합연구소의 구마가이 아키마루 부이사장은 "임금과 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BOJ가 성급히 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다"며 12월 인상을 기본 시나리오로 제시했다.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