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R 의무확대에 선제적 대응
화재 예방·재활용 활성화 기대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9월 말부터 주민센터와 공공주택을 중심으로 2차전지 전용 수거함 설치·운영 지원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소형 전자기기에 내장된 리튬배터리 등 2차전지의 사용 증가로 안전한 폐기물 배출 수거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른 조치다.
2차전지는 여러 번 충전해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 니켈카드뮴전지(Ni-Cd), 니켈수소전지(Ni-MH) 등이 포함된다.
![]() |
폐전지류 배출 요령 [환경부포스터 발췌] |
이번 조치는 전자제품 자원순환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2026년 1월부터 시행되는 EPR(생산자책임재활용) 의무가 모든 전기·전자제품으로 확대됨에 맞춰 선제적으로 시행한다. EPR은 제조·수입·판매업자에게 제품의 회수와 재활용 의무를 부과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지난 7월 E-순환거버넌스와 맺은 '폐가전·폐전지 안전수거체계 구축' 협약을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주민센터와 공동주택에 2차전지 전용 수거함을 설치할 계획이다. 수거함의 보급과 설치, 폐기물 수거·운반은 E-순환거버넌스에서 실시하게 된다.
전용 수거함은 정부의 '폐전지 수집·운반·보관 안전 가이드'에 따라 안전성을 고려해 내열 금속 재질로 제작됐다. 전용 수거함은 휴대폰 배터리와 블루투스 이어폰 등 2차전지 사용 제품을 그대로 투입할 수 있다.
기존 전지수거함은 주민센터와 공동주택 등에 배치돼 있으며, 시계와 리모컨 등에 사용되는 1차전지인 알카라인전지 등은 기존 전지수거함과 2차전지 전용 수거함에 모두 배출 가능하다. 언제 어디서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서울맵(map.seoul.go.kr)을 통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전용 수거함은 시민들이 접근하기 쉬운 주민센터와 공동주택 분리수거장에 설치된다. 특히 500세대 이상인 공동주택이 우선 설치 지원 대상이며, 이를 원하는 경우 관할 구청에 신청해야 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2차전지와 생활폐기물의 혼합 배출로 인한 화재 위험을 예방하고, 자원화된 2차전지의 재활용도 활성화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일 서울시의회에서는 2차전지 폐기물 관련 규정을 신설하는 폐기물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최종 가결됐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2차전지 폐기물을 안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 요령을 안내할 예정이다.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혼합 배출을 피하고 전지가 내장된 제품은 원형 그대로 폐기하며, 통상적인 절연 조치를 취해야 한다.
서울시는 안전한 분리배출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터와 홍보 영상도 다양한 매체에 배포할 계획이다.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하고 정보 제공을 확대한다.
권 민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전국에서 가장 먼저 선도적으로 안전 수거 체계를 도입해 화재 위험을 줄이고, 누구나 가까운 곳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2차전지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