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KH한국건강관리협회는 기생충 감염에 각별한 주의를 9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기생충 감염병 신고수는 2014년 3296건에서 2024년에는 551건으로 해마다 줄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해외여행, 외식문화의 변화, 반려동물 증가 등의 영향으로 국내에서 발견이 드물거나 희귀한 기생충 감염 사례가 과거보다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 |
기생충박물관. [사진=건협] 2025.09.09 gyun507@newspim.com |
건협 메디체크연구소는 "야생 나물 채취나 텃밭 가꾸기 등을 하다가 흙에 서식하는 기생충 알에 노출되는 경우도 있고, 유원지 등에서 흔히 접하는 다슬기 등 패류나 은어 같은 민물고기 등을 회로 먹거나 설익혀 먹는 것도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건협은 희귀 기생충에 감염된 사례를 분석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60대 여성으로 간헐적인 위장관 불편감, 소화불량, 변비, 설사 등의 증상으로 내과를 찾았다. 일반적인 혈액 및 장기 기능 검사 수치는 정상이었으나, 대장 내시경 검사 결과 회장, 맹장, 상행결장 점막에서 기생충 성충 4마리가 발견됐다.
건협 메디체크연구소는 흡층류의 일종인 '이전고환극구흡충'으로 최종 확인했다. 이 기생충은 국내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종으로, 2014년 감염 사례 보고 이후 10년 만에 다시 확인된 사례다. 특히 대부분 소장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흡충류와 달리 소장 말단과 대장에서도 발견됐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메디체크연구소는 이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 한국에서의 이전고환극구흡충(Echinostoma cinetorchis) 감염 희귀 사례를 SCIE급 학술지인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신종 감염병(EI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24년 8월호에 게재했다.
한편 건협은 한국기생충박멸협회를 모태로 하는 만큼 건강검진 외에도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생충 감염병 조사·연구 및 예방 사업을 수행하는 기생충 검사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국 17개 지부(건강검진센터)를 통해 검진 내원객의 내시경 검사 중 발견된 기생충에 대한 정확한 동정 검사를 시행해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 과정은 회충, 편충, 고래회충, 무구조충 등 주요 기생충의 표본 감시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또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의뢰하는 기생충 의심 검체에 대한 검사도 진행한다.
질병관리청의 기생충 조사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매년 기생충 감염 실태조사를 진행해 국내 기생충 질환의 유행 양상을 파악해 감염병 예방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메디체크연구소는 "건협의 기생충 검사 시스템은 의료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국내 기생충 진단 능력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며 "이와 더불어 기생충박물관을 운영하며 일반인과 학생들에게 기생충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전시와 체험을 통해 위생과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도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