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노위, 사회적 대화 의제 인식조사 결과
직장 조직 문화, 차별·격차 해소 등 상위권'
안전·격차·일자리 문제…국민 관심 높아
[세종=뉴스핌] 이유나 기자 = 사회적 대화가 최우선으로 필요한 의제로 '안전한 일터 조성'과 '청년층 취업난 해소'가 꼽혔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회적 대화 의제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19세 이상 성인남녀 2500명을 대상으로 6월 25일부터 지난달 3일까지 진행됐다.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위기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및 산업 전환 ▲차별 및 격차 해소 ▲일·생활 균형 ▲직장 내 조직문화 등 총 5대 분야 25개 의제(5점 척도)를 제시하고, 의제별 사회적 대화 필요도와 분야별 의제 우선순위를 조사했다.
![]() |
사회적 대화 필요도가 높은 의제[사진=경제사회노동위원회]= 2025.08.28 yuna7402@newspim.com |
조사 결과 국민들은 사회적 대화 필요도가 높은 의제로 '건강하고 안전한 일터 조성'(4.29)와 청년층의 취업난 해소 대책(4.27)을 꼽았다.
이어 국민연금·퇴직연금 등 노후소득 보장방안(4.18), 고용·산재·건강보험 등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4.15),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갈등 완화(4.13), 육아휴직 등 일육아 양립 정책 확대(4.13), 직장 내 노사 간 소통·협의 활성화(4.07),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4.03), 고용형태 다양화에 따른 종사자 보호 방안(4.01), 대·중소기업 및 원·하청간 격차 해소(4.01) 등이 높게 나타났다.
'직장내 조직문화', '차별 및 격차 해소',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위기' 분야의 의제들이 상위권을 차지해 최근 '안전', '격차', '일자리' 문제에 대한 높은 국민적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20~30대에서 '육아휴직 등 일육아 양립 정책 확대'나 '휴가·휴식제도 개선'과 같은 워라밸(일·생활 균형) 관련 의제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40~60대는 '노후소득 보장' 의제가 높게 나타났다.
권기섭 경사노위 위원장은 "빠른 시간 내에 사회적 대화를 정상화하여 노사 간 또는 계층 간 갈등을 중재하며, 사회적 합의를 목표로 하는 사회적 대화기구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yuna74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