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보험업권 상생상품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
소상공인 회복·저출산 극복 위한 6대 대표상품 선정
전국 17개 시·도와 지자체 맞춤형 사업도 추진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로 서민 경제가 흔들리고 잇따른 폭우와 폭염 등 자연재난으로 소상공인의 시름도 깊어지는 가운데 보험업계가 금융위원회와 함께 서민·소상공인을 위한 무상보험 지원에 나섰다. '사망보험금 유동화'에 이은 두 번째 '소소금(소비자를 笑웃게하는 금융)' 정책이다.
26일 금융위원회는 보험업권과 함께 총 300억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조성해 3년간 운영하는 무상보험 상품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 여의도 보험개발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안창국 금융산업국장, 이동엽 보험과장,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이 참석했다. 업계에서는 한화·삼성·교보·미래에셋생명,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보·NH농협손보 등 주요 보험사 CEO들이 참석했다.
![]() |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250826 보험업권 상생상품 개요 [표=금융위원회] 2025.08.26 yunyun@newspim.com |
이번 상생상품은 '소상공인 회복'과 '저출산 극복'을 목표로 ▲신용보험 ▲상해보험 ▲기후보험 ▲풍수해보험 ▲화재보험 ▲다자녀 안심보험 등 6대 대표상품을 선정해 보험료 전액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서민과 소상공인이 생활비 부담 없이 꼭 필요한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보험업권에서는 보험료를 전액 지원하는 상생상품을 3년간 운영하며 이를 위해 총 300억원(생보 150억원, 손보 150억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조성한다. 또한 신규상품을 지속 개발해 상생상품 리스트와 보장대상 등을 확대하고 신용보험·기후보험 등 인지도가 낮아 가입이 저조했던 보험상품들의 활성화 한다는 계획이다.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와 함께 추진한다. 사업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지자체 재원을 일부 사용(총 사업재원의 최대 90%는 상생기금이 지원)하며 지자체는 지역 경제상황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상생상품을 제안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인구 감소 지역 등 취약지역에는 지원 비율을 높여 지역균형발전도 도모할 방침이다.
![]() |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250826 상생상품 지원 혜택 추산 예시 [표=금융위원회] 2025.08.26 yunyun@newspim.com |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보험업권이 산불·풍수해 등 위기 상황에서 보여준 현장 대응과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 개발을 높이 평가한다"며 "이번 상생상품은 국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소소금(消費者를 笑웃게 하는 금융) 정책의 일환으로, 민생 회복과 저출산 극복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1년간 치열하게 논의된 보험개혁회의가 제도적 신뢰를 다지는 과정이었다면 이번 상생상품은 국민의 마음과 신뢰를 얻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금융당국도 제도적·감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올해 3분기 내 첫 지원 지자체를 선정하고 지자체-생·손보협회 간 협약 및 실무 협의체 구성을 추진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보험업권 상생사업'을 브랜드화해 후속 사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라며 "보험업권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며 도움받을 수 있는 다양한 금융 정책들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