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 사망·270명 대피...도로·철도 등 곳곳 침수 통제
서울·인천·경기북부 호우특보 해제...경기남부 강한 비 계속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14일 오전 9시 30분을 기해 서울·인천·경기북부와 부천, 서해5도에 내려졌던 호우특보가 해제됐다. 그러나 경기남부 지역은 서해상에서 유입되는 비구름대 영향으로 늦은 오후까지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이어질 전망이다.
![]() |
경기 광명시 광명동 소재 국가하천 목감천이 밤새 내린 폭우에 CCTV와 산책로 그리고 운동기구가 물에 잠겼다. [사진=뉴스핌 DB] |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0분 현재 수도권은 약한 비가 내리거나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다만 경기남동부 일부 지역에는 시간당 10mm 안팎의 비가 내리고 있다. 정체전선이 남하하면서 서해상에서 발달한 비구름대가 경기남부를 중심으로 강하게 유입되고 있으며, 오늘 오후 3시부터 6시 사이에는 시간당 30mm 안팎의 매우 강한 비가 쏟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번 집중호우로 인해 경기북부 지역에는 큰 비가 내렸다. 14일 오전 7시 기준으로 파주에는 312.9mm, 동두천에는 271.5mm, 연천에는 270.5mm, 김포에는 266.0mm, 포천에는 257.0mm의 누적 강수량이 기록됐다. 이 기간 최대 시우량은 고양이 105.0mm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김포 101.5mm, 파주 94.0mm, 양주 87.5mm, 의정부 76.5mm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상황도 속속 접수됐다. 김포시 신곡리에서는 1명이 숨졌고, 주택 침수와 산사태 우려 등으로 192세대 270명이 대피했다. 고양시에서는 주택 침수로 162세대 234명이 긴급히 피신했고, 가평군에서는 산사태 위험이 높아 19세대 20명이 사전 대피했다. 김포시에서는 3세대 7명이, 의정부시에서는 5세대 5명이, 파주시에서는 3세대 4명이 각각 일시적으로 대피했다.
![]() |
집중호우로 안양천 수위가 높아져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사진=독자제공] |
교통과 시설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교외선(의정부~대곡) 전 구간이 침수돼 운행이 중단됐고, 지하차도와 도로 5개 구간, 하상도로 3곳이 통제됐다. 둔치주차장 27곳과 세월교 6곳, 하천변 5537곳도 출입이 제한됐다. 경의선, 경원선, 일산선은 13일 오후에 운행이 재개됐지만, 일부 구간은 여전히 안전 점검이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13일 오후 6시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단계를 3단계로 격상하고 전 방위 대응에 나섰다. 기상청과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를 공유하고, 산간계곡과 야영장에 재난문자를 발송했으며, 위험 구간은 선제적으로 통제했다.
산사태 특보 발효 전후에는 일몰 전에 사전 대피를 강력히 지시했다. 필승교 수위가 1m를 초과했을 때는 하천변 행락객과 어민, 주민들에게 즉시 대피를 안내했다.
홍보와 안내도 강화됐다. 경기도는 재난문자를 8차례 발송했고, 시·군에서는 107차례의 문자 안내를 진행했다. 전광판 178곳과 자동음성통보 40회 등을 활용해 주민들에게 대피와 안전 조치를 반복적으로 알렸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까지 경기남부 지역에 30~80mm, 서울·인천·경기북부에는 20~60mm, 서해5도에는 5~20mm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특히 경기남부는 늦은 오후까지 강한 비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침수와 산사태 등 2차 피해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
14일 오전 9시 30분을 기해 서울·인천·경기북부와 부천, 서해5도에 내려졌던 호우특보가 해제됐다. 그러나 경기남부 지역은 서해상에서 유입되는 비구름대 영향으로 늦은 오후까지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수도권기상청] |
경기도 관계자는 "특보가 해제된 지역이라도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여서 국지적으로 강한 비가 쏟아질 수 있다"며 "기상 상황과 안전 안내를 수시로 확인하고, 위험 지역에는 접근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