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753억원...전년 대비 35.9% 뚝
백화점 투자액 증가·자회사 부진 겹치며 수익성 악화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신세계가 올해 2분기 어려운 업황에도 매출 성장을 이어갔다. 다만 영업이익은 백화점 투자금액 증가와 자회사 부진이 겹치며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신세계는 8일 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 기준 총매출액이 2조 8,958억원으로 전년 대비 4.1% 신장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753억원으로 전년 대비 35.9%(422억원) 급감했다.
![]() |
신세계백화점 본점 전경. [사진=신세계] |
사업 부문별로 보면 백화점 사업의 순매출액은 1조6938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709억원을 기록하며 13.3% 줄었다. 미래 준비를 위한 전략적 투자를 지속함에 따라 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세계백화점은 센텀시티 '하이퍼그라운드', 강남점 식품관(스위트파크, 하우스오브신세계, 신세계마켓), 본점 '더 헤리티지'와 '디 에스테이트' 등을 순차적으로 리뉴얼하며 본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힘써 왔다. 이를 통해 강남점의 전국1위, 센텀시티의 전국 3위와 같은 높은 성과를 거뒀다.
면세 사업을 영위하는 신세계디에프는 2분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22.9% 증가한 6051억원을 기록한 반면, 영업손실은 15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은 158억원으로 흑자를 냈으나 1년 만에 101억원의 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관광객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제휴와 시내·공항면세점 브랜드 개편으로 외형은 성장했으나, 인천공항 정상 매장 전환에 따른 임차료 증가로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자회사들도 실적 부진을 면치 못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올 2분기 매출액 3086억원, 영업손실 2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3.8%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56억원 감소하며 적자를 봤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올 2분기 뷰티 부문 매출액은 1156억원을 기록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자사·수입 화장품이 모두 좋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지난해 인수한 자회사 어뮤즈가 글로벌 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며 고성장을 이뤄냈으며, 영업이익은 24억원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고기능 스킨케어 브랜드 연작도 높은 성장세(+80.7%)를 보이며 뷰티사업 내 경쟁력을 입증했다.
소비심리 저하에 따른 패션부문의 침체와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투자비 증가가 실적에 영향을 미쳤으나, 향후 성장성 높은 해외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브랜드 효율화 작업과 리브랜딩을 통해 실적 개선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까사 역시 매출액 583억원(-10.4%), 영업손실 1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10.4% 감소했으나, 손실폭은 13억원 줄이며 적자를 개선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매출액의 일시적 하락과 환율 상승으로 원자재 가격 부담이 더해지며 실적에 영향을 미쳤으나 메가 히트 시리즈 캄포와 수면 전문 브랜드 마테라소의 사업 확장을 바탕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1.5% 줄어든 802억원, 영업이익은 1억원 증가한 6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신세계센트럴은 매출액 964억원(+1.5%)을 기록했으나 부동산 보유세, 이른 더위로 인한 수도·광열 비용 증가 등에 따라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11억원 감소한 98억원이다.
신세계는 하반기에 실적 개선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강남점 식품관 리뉴얼의 마지막 단계인 즉석조리식품(델리)코너 오픈으로 국내 최대 규모 식품관을 완성하고, 국내 최고 수준의 럭셔리 라인업을 갖춘 신세계 본점 '더 리저브(舊 본관)' 오픈이 예정돼 있다.
오프라인의 전략적 투자는 중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기반이 될 것이며, 향후 매출 확대, 수익성 개선, 시장 점유율 상승 등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질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난 5일 공식 론칭한 비아신세계·비욘드 신세계 등도 고객들의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며, 신세계는 앞으로도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쇼핑 경험으로 본업 경쟁력의 초격차를 이어갈 예정이다.
신세계디에프는 중국인 무비자 입국과 같은 하반기 업황 개선 효과에 힘입어 개별 관광객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과 '테이스트 오브 신세계(Taste of SHINSEGAE)' 등 차별화 콘텐츠를 더해 실적 개선에 더욱 힘쓸 계획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녹록지 않은 영업 환경에서도 본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인 투자를 늘리고 있다"며 "이러한 투자를 발판으로 꾸준한 콘텐츠 혁신과 각 사별 경쟁력 강화를 통해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