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3D 시뮬레이션 기반 실시간 재난 대응 체계
한·일 기업·지자체 협력…침수 예측 플랫폼 개발
디지털 트윈 활용해 도시계획·인구 분석까지 확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클라우드가 일본 나가이시와 협력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침수 방재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7일 네이버클라우드는 일본 야마가타현 나가이시와 NTT 동일본, NTT e-드론 테크놀로지,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디지털 트윈 및 드론 기술을 활용한 침수 방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나가이시는 집중호우 시 모가미강과 지류 범람으로 인한 침수 피해가 반복돼 왔으며, 고령화와 인력 부족 등으로 복합적인 방재 대응이 필요한 지역으로 꼽힌다. 이번 협약은 이러한 재난에 대한 정밀 예측과 실시간 대응을 목표로 한다.
![]() |
왼쪽부터 한국수자원공사 장병훈 수자원환경부문장, 네이버클라우드 신지현 일본사업개발총괄 상무, 일본 야마가타현 나가이시 우치야 시게하루 시장, NTT 동일본 야마구치 타다유키 비즈니스 개발 본부장, NTT e-드론 테크놀로지 타키자와 마사히로 대표이사. [사진=네이버클라우드] |
네이버클라우드는 드론으로 수집한 항공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시를 고정밀 3D로 구현하고, 수위·강수량·강설량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연동해 방재 상황을 통합 관리·분석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방재는 물론 도시 관리 전반에 활용될 수 있다.
프로젝트는 참여 기관 간 전문성을 바탕으로 유기적인 협업 체계로 추진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침수 예측과 홍수 시뮬레이션 등 수자원 기술을 담당하며, NTT e-드론 테크놀로지는 드론 기반 항공 촬영을 지원한다. NTT 동일본은 전체 사업을 총괄하며 네트워크 및 방재 인프라를 구축하고, 나가이시는 실증 지역으로서 행정 데이터를 제공하고 실현 가능성을 검증한다.
참여 기관들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방재를 넘어 도시계획, 유동 인구 분석 등으로 확장해 '항상 대비된(Phase-Free)' 도시 시스템 구축을 공동 목표로 제시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글로벌 프로젝트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방재 시스템 구축에 참여하게 됐다"며 "기술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파트너들과 함께 실질적 변화를 이끄는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접목 사례로 지난 6월 일본 이즈모시와 협력해 AI 기반 독거노인 안부 확인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을 선보인 바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