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미국S&P500 변동성확대시 커버드콜 ETF, 오는 12일 신규 상장
VIX지수 등으로 변동성 확대 시 콜옵션 매도…평시에는 S&P500 추종
기본적으로 월 배당 제공…분기별 초과 수익 발생 시 분배금 지급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삼성자산운용이 변동성이 확대되는 시장에서 수익 기회를 노릴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조건부 커버드콜 ETF(상장지수펀드)를 선보인다. 오는 12일 신규 상장되는 'KODEX 미국S&P500 변동성확대시 커버드콜' ETF는 기본적으로 S&P500 지수를 추종하면서 특정 조건에서 콜옵션 매도를 병행하는 전략을 적용한 상품이다.
삼성자산운용은 7일 웹 세미나를 열고 해당 ETF의 상품 구조와 운용 전략을 공개했다. 정재욱 삼성자산운용 ETF운용3팀장은 "해당 상품은 변동성을 관리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조건부 커버드콜 전략이 잘 작동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활용해 S&P500 지수를 아웃퍼폼하는 성과를 추구하고 싶은 투자자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사진=삼성자산운용 웹 세미나 캡쳐] |
정 팀장은 "2000년대 닷컴버블, 9·11테러, 글로벌 금융위기와 2020년대 코비드, 금리 인상 쇼크 등 변동성이 발생할 때 S&P500 하락이 발생했다"며 "변동성을 관리하는 수단이 필요하고, 변동성조차 기회로 삼을 수 있는 상품을 고민하게 됐다"고 상품 개발 배경을 밝혔다.
KODEX 미국S&P500 변동성확대시 커버드콜 ETF의 차별점은 '조건부 전략'에 있다. 정 팀장은 "일반적 상황에서는 S&P500을 그대로 추종하지만, 변동성이 높아지는 시점에는 스위치가 ON 돼서 콜옵션을 100% 매도하고 OFF 시점이 되면 커버드콜 옵션을 매도하지 않고 S&P500을 추종한다"고 설명했다.
변동성 확대 신호는 ▲공포지수로 알려진 변동성(VIX)지수가 20일 평균을 상회하거나 ▲VIX 선물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단기 변동성이 장기보다 높은 상태)이 발생할 때 감지된다. 두 조건이 동시에 발생하면 S&P500 변동성 확대를 예상하고 커버드콜 전략을 100% 수행한다.
정 팀장은 "S&P500 지수가 8.8% 하락했던 2018년 변동성확대시 커버드콜 ETF는 2.4% 하락에 그쳤다"며 "2020년 급락 후 상승 구간에서 S&P500 지수가 16.3% 상승하는 동안 해당 ETF는 36.1%로 아웃퍼폼하는 성과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세 상승 구간에서는 불리할 수 있지만, S&P500 지수가 26.3% 상승할 때 해당 ETF는 26% 상승하며 대부분 추종했다"고 덧붙였다.
콜옵션 매도 비중은 변동성 조건에 따라 100% 또는 0%로 탄력 조정된다. 정 팀장은 "이 상품은 콜옵션 매도 비중이 고정된 상품이 아니라 0% 또는 100%로 비중을 조정한다"며 "수취 된 프리미엄은 자동 재투자하는데, 기본적으로 S&P500은 장기 우상향하기 때문에 재투자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이 상품은 기본적으로 월 배당을 제공한다. 분기별(3·6·9·12월) S&P500 대비 초과 수익이 발생할 경우에는 프리미엄 범위 내에서 추가 분배금도 지급할 계획이다.
안정진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팀장은 "커버드콜 상품이라면 배당에 대한 기대가 높을 수 있는데 S&P500에서 나오는 연간 1~2%는 매월 배당으로 활용하고, 분기마다 S&P500을 초과했을 경우 분배금을 드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초과 성과가 없거나 변동성 확대 시그널 없이 시장이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확보된 프리미엄이 없기 때문에 분배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KODEX 미국S&P500 변동성확대시 커버드콜 ETF의 연간 총 보수는 연 0.39%이며 환헤지는 적용되지 않는다. 퇴직연금(DC·IRP)은 70%, 개인연금은 100%까지 투자할 수 있다.
rkgml92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