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사용"...한 달 새 하루 이용자 51% 급증
두 달 만에 회원 수 100만명 늘어...600만명 육박
2% 수수료...스테이블코인 적용 등 기술검증에 활용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신한은행이 운영하는 배달앱 '땡겨요'가 회원 수 600만명 돌파를 고지에 뒀다. 배달앱 중 유일하게 소비쿠폰 사용이 허용되면서 관심이 급증한 영향이다. 경기침체 여파로 배달앱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공공배달앱 지위를 앞세워 소비쿠폰 반사이익을 톡톡히 보고 있는 셈이다.
6일 신한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배달앱 '땡겨요'의 회원 수가 584만명을 넘겼다. 이 기간 가맹점 수는 약 25만 1000개로 집계됐다.
'땡겨요'는 지난해 12월 회원 수 400만명을 넘긴지 5개월 만인 지난 5월 500만명을 돌파했다. 이후 불과 2개월 만인 지난달 말 584만명을 기록, 600만명 달성을 넘보고 있다. 지난해 말 19만300개였던 입점 가맹점도 지난 5월 23만개를 넘어섰고 7월 말까지 2만 개가 추가돼 25만1000개를 기록했다.
![]() |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한국신용데이터(KCD)가 4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자영업자 매출 증감률은 전주 대비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음식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04 ryuchan0925@newspim.com |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로 주목을 받으면서 빠르게 회원 수가 불어난 효과다. 배달앱 가운데 소비쿠폰 사용이 허용된 곳은 '땡겨요'가 유일하다. 정부의 소비쿠폰 지급과 맞물려 '공공배달앱' 지위를 톡톡히 누린 것으로 평가된다.
신한은행과 서울시가 협력한 공공배달앱으로 출발한 땡겨요는 지역화폐 결제를 지원하기 때문에 앱 내 결제와 현장 결제 모두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에 서울시와 함께 2만원 이상 3회 주문 시 1만원을 환급하는 등 프로모션도 적극 확대했다.
실제 앱 통계 플랫폼인 모바일인덱스에서 집계한 지난 2일(금) 안드로이드 사용자 기준 '땡겨요'의 일간 사용자 수는 27만7142명으로 약 1개월 전인 지난달 5일(금) 18만2386명 대비 51.9%나 급증했다. 소비쿠폰 지급 이후로 접속 인원이 크게 불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땡겨요'는 지난 5월 금융당국으로부터 부수업부 승인을 받고 정식 서비스 전환을 본격화 했다. 지난 2020년규제 샌드백스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 2022년 1월 오픈해 최근까지 시범사업을 거쳐 본사업 궤도에 오른 것이다.
2%의 낮은 중개수수료, 광고비 무료 등을 앞세운 것이 '땡겨요'의 강점이다. 신한금융그룹의 첫 비금융플랫폼 사업인 해당 서비스는 2020년 당시 은행장이던 진옥동 회장이 사업 기획부터 출시까지 손수 챙긴 것으로 유명하다.
신한은행은 '땡겨요'를 통해 금융지원을 결합한 지역밀착형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땡겨요페이통장과 땡겨요적금 등 금융상품을 활용해 가맹 고객의 당행 거래를 높이고 땡겨요 QR오더에 기반한 구내식당·푸드코트 O4O서비스를 지속 확장한다.
실시간 배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땡배달도 지난 7월 말 베타 오픈했다. 또한 '땡겨요'를 원화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도입하기 위한 기술검증(PoC) 작업도 진행 중이다. 앞서 디지털화폐(CBDC) 기반 결제 실증사업 참여에 이어 디지털 기반을 확장하는 방향이다.
다만 '땡겨요'의 적자 개선은 과제로 거론된다. 신한은행은 현재 땡겨요의 수익지표를 공개하지 않지만 2%의 낮은 수수료율 등을 감안하면 매년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땡겨요보다 수수료율(9.8%)이 높은 요기요도 수년째 적자를 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배달앱 시장에서 '땡겨요'는 오래 지속하기 어려운 모델"라며 "신한은행 입장에선 수익성보다 배달 데이터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가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규모의 거래를 바탕으로 '땡겨요'의 흑자전환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땡겨요는 수익이 우선되는 사업이 아니다"라면서도 "현재 민-관 협력을 통한 주문거래가 증대되면서 적자가 개선되는 중이며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적자를 탈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자체 협업 확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 혜택으로 소비자와 가맹점의 이용을 높여 흑자 전환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