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 선정
"차세대 멀티모달 모델 설계·학습 알고리즘 연구 주도"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크래프톤은 자사가 참여한 SK텔레콤 컨소시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정예팀으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SK텔레콤 컨소시엄은 반도체, AI 모델, 데이터, 서비스로 이어지는 독자 기술 기반의 풀스택 AI를 구현하고 개발된 AI 모델을 국내 생태계에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포스트-트랜스포머 AI 모델로 K-AI 서비스를 실현해 국민의 AI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AI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 |
크래프톤 로고. [사진=크래프톤] |
크래프톤은 이번 컨소시엄에서 차세대 멀티모달 모델의 아키텍처 설계와 학습 알고리즘 연구를 주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 등 도메인에 특화된 AI 설루션을 개발하고 AI 비플레이어캐릭터(NPC) 및 스토리 엔진 등 게임 콘텐츠에 활용 가능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개발도 함께 추진한다.
크래프톤은 실제 게임 플레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멀티모달 데이터셋 수집 플랫폼을 보유해 원천 기술 확보와 산업 적용 측면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한국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또한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한 Co-Playable Character(CPC) 기술과 AI 에이전트의 게임 플레이 능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 '오락(Orak)'을 공개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올해에만 세계 최고 권위 AI 학회에 15편의 논문을 게재하며 연구 활동도 지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이와 함께 SK텔레콤과 공동으로 개발한 사후 훈련(post-training) 기법을 7B(70억 개 파라미터) 규모의 오픈소스 추론 특화 언어 모델 3종에 적용한 결과물을 선보였다. 이번에 공개한 모델들은 크래프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학습 기법을 적용한 결과물로, 도메인 특화 AI 모델 개발 역량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 본부장은 "멀티모달과 게임 특화 AI 분야에서 크래프톤이 보유한 고유 기술력은 컨소시엄에서도 중요한 차별화 요소가 될 것"이라며 "SK텔레콤 컨소시엄과 함께 국내 AI 생태계 발전과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