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 협력·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 초점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이스포츠(e-sports) 발전을 위해 오는 8일 오후 1시 30분 한국프레스센터 20층에서 '2025 서울 국제 이스포츠 포럼'을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이스포츠는 최근 국제 스포츠계에서 주목받는 분야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24년 제142회 총회에서 '올림픽 이스포츠 대회' 신설을 발표하고, 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제1회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도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2023년 개최)부터 이스포츠를 정식 종목으로 채택했다.
![]() |
'2025 서울 국제 이스포츠 포럼' [포스터=서울시] |
포럼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미래 세대를 위한 글로벌 이스포츠 정책·교육과제와 지속 성장을 위한 도시의 협력 과제를 중심으로 다룬다.
첫 세션에는 캐나다, 영국 등 해외 이스포츠 전문가들이 참여해 학교 이스포츠 교육 도입 현황·제도화 사례를 공유하고, 청소년 대상 이스포츠 교육의 공공성 확대방안을 논의한다. 캐나다 스포츠교육위원회 네이선 코블런 회장, 전 영국이스포츠협회 교육사업 총괄 게리 티벳 이사, 일본 이스포츠 연맹 타카이 다이 파트장 등이 관련 사례 발표에 나선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국내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올림픽 이스포츠 대회' 등 새로운 국제 스포츠 흐름에 대한 도시의 대응 전략이 발표되며, 서울시의 이스포츠 선수 육성 시스템·정책 협력 과제에 대한 제언이 이어진다. 한국스포츠과학원의 장태석 박사와 고려대학교 한남희 교수 등이 참여한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이스포츠 국가대표 공식 파트너 도시'로 한국e스포츠협회(KeSPA)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항저우 아시안게임 이스포츠 국가대표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한 바 있다. 또 '2024 KeSPA 글로벌 이스포츠 포럼 in 서울'을 문화체육관광부와 후원해 이스포츠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서울시는 이번 포럼에서 이스포츠 선수 육성, 도시 간 협력 과제·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 등 주요 정책과 전문가 제언을 바탕으로 서울만의 이스포츠 정책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구종원 관광체육국장은 "이번 포럼은 서울이 글로벌 이스포츠 정책 담론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포럼에서 이스포츠 정책 지원 방향을 다각도로 논의해 이스포츠 선수들이 세계 무대에서 최고의 기량을 선보일 수 있는 정책 기반이 다져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