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미국과 일본의 관세 합의로 일본은행(BOJ)이 연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껑충 뛰었다.
25일 블룸버그 통신은 BOJ가 올해 안에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현재 약 80%까지 상승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블룸버그가 관세 합의 발표 전 실시한 이코노미스트 조사에서는 다음 금리 인상 시기로 "내년 1월"이 3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올해 10월"이 32%였다.
블룸버그는 BOJ 관계자를 인용해 "이번 합의는 일본 기업에 있어 불확실성의 감소로 이어지며, 2% 물가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초점은 이제 구체적인 기업의 행동과 그 영향이라는 다음 단계로 옮겨가고 있다. 협상이 장기화되며 관세 정책의 향방이 불투명했던 이전과 달리, BOJ가 청취 조사나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다 이른 시점에 정책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자동차를 포함해 일본에 대한 관세율이 일부를 제외하고 15%로 결정된 점은 BOJ가 경제·물가 전망의 전제로 상정해왔던 범위 내라고 관계자들은 지적했다.
다만 기업의 투자 판단이나 가격 전략이 수익이나 임금 인상에 미치는 영향 파악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관세를 둘러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점에서 "오는 30~31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는 현재 0.5% 수준의 정책금리를 유지할 공산이 크다"고 블룸버그는 내다봤다.
이번 합의를 두고 일본 재계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경제동우회의 니이나미 다케시 대표 간사는 "자동차를 포함한 관세 전면 인상이 회피된 것은 기업 현장에 있어 중요한 방파제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우치다 신이치 BOJ 부총재도 지난 23일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기업 행동을 결정하는 데 있어 큰 불확실성 중 하나가 줄었다"면서, 기업 수익 및 임금 인상에 대한 영향을 정밀히 검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일본은행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