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4000억 달러 요구 전해져...1000억 달러 이상 투자 불가피
현대차, 4년간 31조 美 투자...삼성·SK·LG 등 추가 투자 압박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한미 관세협상이 급박하게 돌아가는 가운데, 최근 이재명 대통령과 잇따라 회동한 재계 주요 그룹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일본이 5500억달러(755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를 약속하고 관세율을 25%에 15%로 낮춘 상황에서 한국의 미국 투자 확대도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은 사실상 돈을 주고 관세 인하를 구매했다며 다른 나라들도 일본처럼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하면 관세를 낮춰주겠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한미 2+2 통상 협의'를 이틀 앞두고 일방적으로 취소당한 한국에 대해 일본과 같은 규모의 투자 확대 압박을 한층 가중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다만 삼성과 현대차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이미 수 십조원 단위의 투자를 약속하거나 집행한 상황에서 추가 투자 여력이 만만치 않다. 게다가 관세 부과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2분기 실적이 악화된 것도 부담 요인이다. LG전자와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반토막 난데 이어 현대차도 미국 관세 부과 여파로 영업이익이 15%나 줄었다.
◆ 美 4000억 달러 요구 전해져...1000억 달러 이상 투자 불가피
25일 재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전날 저녁 이재명 대통령과 만나 대미 협상 및 투자, 일자리 창출, 내수 활성화 방안 등 경제 현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에 앞서 지난 21일, 22일에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이 대통령과 회동했다. 14일, 15일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이 대통령과 만나 대미 투자 방안 등을 논의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6경제단체·기업인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앞서 삼성과 SK, 현대차, LG, 롯데, 포스코, 한화, HD현대 등 10대 그룹과 접촉해 가용한 현지 투자 금액을 취합했고, 현재까지 기업들로부터 약속받은 투자 금액은 1000억달러(137조원) 규모로 전해진다.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현재 미국은 한국에 최대 4000억 달러(550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일본이 유사한 조건(4000억 달러)을 제안받고 결국 5500억 달러(약 760조원) 규모로 합의한 점을 볼때, 미국이 관세 인하를 무기로 한층 더 확대된 투자안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의 경제 규모를 고려할때 1000억 달러도 적지 않은 금액이지 않느냐"며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한국의 조선산업과의 협력, 미국산 원유 도입 확대 등 다양한 협상 카드를 활용해 관세를 최대한 낮춰 기업들의 충격을 최소화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 현대차, 4년간 31조 美 투자...삼성·SK·LG 등 추가 투자 압박
트럼프 정부 2기에 미국내 투자 약속을 공개적으로 밝힌 국내 기업은 현대차그룹 정도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정의선 회장이 직접 미국 백악관을 방문해 "향후 4년간 210억달러(약 31조원)를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현대차는 향후 4년간 자동차 생산 분야에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에 61억 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 63억 달러 등을 투자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는데, 현지에 제2공장 등 기존 투자의 2~3배에 달하는 추가 투자를 저울질하고 있다.
SK그룹은 배터리 자회사인 SK온과 SK하이닉스의 반도체 후공정 투자 등 다양한 분야의 미국 내 투자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투자 기업으로 거론된다. 미국 애리조나에 독자 배터리 공장을 건설중인 LG는 향후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R&D) 거점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