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리튬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타면서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소재 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엔켐은 합작법인 이디엘과 함께 새만금에 리튬염 공장을 건설 중으로 리튬 가격 반등에 따른 실적 회복 가능성에 주목받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공급 과잉으로 급락했던 리튬 가격이 반등하면서 실적 회복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상승세의 주요 요인으로는 미국과 유럽의 대중국 규제 강화에 따른 '탈중국' 소재 수요 확대가 꼽히고 있다.
리튬염은 전해액 원재료 가격의 절반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다. 전 세계 LiPF6(육불화인산리튬) 생산 능력은 수요 대비 공급 과잉 상태지만, 중국이 전체 생산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망 리스크는 여전히 크다. 현재 시행 중인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해외우려기관(FEOC) 규제, 앞으로 적용될 OBBBA법 PFE 도입 기조를 피하기 위해 원재료 국산화와 내재화가 업계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
엔켐 로고. [사진=엔켐] |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엔켐은 합작법인 이디엘과 함께 새만금에 리튬염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 공장은 내년 중 1만톤 규모로 1단계 완공을 목표로 하며, 주요 건물은 이미 완성돼 현재 공장동 조립만 남았다. 이후 2028년에 2만톤이 추가 증설돼 총 3만톤 규모로 최종 완공될 예정이다.
특히 중국 합작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LiPF6(육불화인산리튬)의 생산성과 품질 개선 노하우를 확보했다. 또한 기술 연수까지 이어오며 핵심 공정을 고도화했고, 국내외 납품 경험을 기반으로 공장 안정화와 시운전 기간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엔켐 관계자는 "전해액 원재료 중 리튬염 비중이 가장 높다"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설립 초기부터 수직 계열화를 준비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양산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결합해 가격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국내에서 쌓은 생산 노하우를 바탕으로 북미 현지 생산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엠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리튬 가격이 kg당 592위안(11만4000원)까지 치솟았을 때 엔켐 매출은 5097억원을 기록했다. 이후 올해 5월 말에는 리튬 가격이 58.9위안(1만1000원)까지 떨어져 5년 내 최저치를 경신하며, 고가에 매입한 재고 평가손으로 리튬 관련 업계 실적에 부담을 줬다. 하지만 지난 22일 기준, 리튬 가격은 69.1위안(1만3272원)으로 5월 대비 약 20%가량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