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제도화 기대에 기관 수요 가세…시총 4조달러 돌파
비트코인 옵션시장, 14만달러 콜옵션에 3조 넘는 자금 몰려
지니어스 법 통과로 이더리움 수요 확대…기업도 매입 나서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암호화폐 시장이 파생상품 수요 확대와 미국 하원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통과 등 정책 모멘텀에 힘입어 메이저 코인 중심의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 시간으로 18일 오후 7시 30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0.26% 내린 11만8,884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은 올해 들어 29% 상승했으며, 주 초에는 12만3,165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바 있다. 이더리움은 3,617달러로 4% 넘게 상승 중이며, 솔라나·XRP·도지코인 등 알트코인도 일제히 강세다.
이로써 암호화폐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4조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팬데믹 직후 시장이 과열됐던 2021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최근 알트코인에 대한 자금 유입이 늘어나며 비트코인 도미넌스(시장 점유율)는 66%에서 62%로 하락한 상태다.
투자자들은 도미넌스 하락을 알트코인 중심 상승장의 전조로 해석하며, 자산 배분을 적극적으로 재조정하는 모습이다.
![]() |
이더리움 가격차트, 자료=야후 파이낸스, 2025.07.18 koinwon@newspim.com |
◆ 비트코인 옵션시장, 14만달러 콜옵션에 3조 넘는 자금 몰려
옵션 시장에서는 강세 심리가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다. 파생상품 거래소 더리빗(Deribit)에 따르면, 비트코인 14만달러(약 1억9470만원") 행사가 콜옵션의 미결제약정 규모는 23억6,000만달러(약 3조2,800억원)에 달해, 가장 많은 자금이 집중된 옵션으로 나타났다.
12만달러, 13만달러 행사가 콜옵션에도 자금이 유입되고 있으며, 반대로 10만달러 풋옵션의 미결제약정은 콜옵션의 절반 수준에 그쳐 하방 베팅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을 단기 차익 실현보다는 중장기 랠리를 노린 전략적 포지셔닝으로 해석하고 있다.
◆ 이더리움도 강세 베팅 집중…4,000달러 돌파 기대감
이더리움 또한 파생상품 시장에서 강한 강세 수요가 포착되고 있다. 더리빗과 데이터 업체 앰버데이터(Amberdata)에 따르면, 4,000달러(약 554만원) 행사가 콜옵션의 미결제약정은 6억5,080만달러, 6,000달러(834만원) 행사는 2억8,000만달러에 달했다.
옵션 전체 거래량의 25%는 오는 7월 25일 만기 기준으로 3,000~4,000달러 구간 콜옵션에 집중되었으며, 같은 만기의 미결제약정 중 8%는 4,000달러 콜옵션에 몰려 있다. 숀 도슨 더라이브 리서치 책임자는 "트레이더들이 빠른 돌파를 예상하고 있으며, 강한 상승 신념이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지니어스 법 통과로 이더리움 수요 확대…기업도 매입 나서
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의 강세 배경으로 미국 하원의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인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 통과를 꼽고 있다. 해당 법안은 민간 발행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공시, 감사, 투명성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더리움 기반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는 제도적 수혜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17일 미 하원은 '지니어스 법안'과 '클레러티 법안(CLARITY Act)', '반(反) CBDC 법안'을 일괄 통과시켰다. 이 중 지니어스 법안은 이미 지난달 미 상원 문턱을 넘었고, 1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앞두고 있다.
리퍼블릭테크놀로지스의 다니엘 리우 CEO는 "앞으로 암호화폐 수익을 추구하는 기관들은 ETH 스테이킹과 리스테이킹을 선호하게 될 것"이라며 "ETH 기반 수익자산은 제도권 투자 대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스닥 상장사 샤프링크 게이밍(SBET)은 기존 10억달러 규모의 주식 발행 계획을 60억달러로 확대하고, 이더리움 매입 및 보유 전략에 자금을 집중할 계획이다. 현재 샤프링크는 32만1,000 ETH(약 11억달러 상당)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초기 비트코인 전략에 비견된다는 평가다.
![]()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한 컴퓨터 모니터에는 리플,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상징이 표시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
◆ XRP, 6년 만에 최고가…70% 급등한 알트코인 대표주자
XRP는 이날 장중 20% 넘게 급등하며 3.61달러를 기록, 2018년 이후 6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최근 30일 기준 상승률은 70%를 웃돌며 주요 암호화폐 중 가장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XRP의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강세 신호가 확인됐다. 주요 거래소 기준 XRP 파생상품의 미결제약정은 100억달러(약 13조9,000억원)를 돌파했고, 펀딩비도 플러스로 전환되며 레버리지 기반 매수세가 강화됐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겟(Bitget)의 수석 애널리스트 라이언 리는 "단기적으로는 2.65~3.00달러 구간이 주요 저항이며, ETF 승인과 규제 명확화가 이어질 경우 5.89달러, 중장기적으로는 10달러 돌파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 전문가들 "알트코인 강세장 본격화…시총 재도약 국면"
시장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상승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사이, 알트코인을 중심으로 자금이 빠르게 재배치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규제 명확성, ETF 유입, 기관 수요 확대가 삼박자로 작용하며, 암호화폐 시장은 시가총액 4조달러를 기점으로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