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고용 증가, 지역 산업 경쟁력 회복 신호
디지털 인재 양성 정책, 청년층 고용 기회 확대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가 상용근로자 100만 시대를 열며 역대 고용최고치를 갈아 치웠다.
시는 17일 오전 부산상공회의소에서 '부산 상용근로자 100만 시대 달성'을 기념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
박형준 부산시장이 17일 오전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부산 상용근로자 100만 시대 달성'을 기념하는 간담회에서 고용 성과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2025.07.17 |
이 자리에는 박형준 시장과 지역 제조업, 투자기업, 고용우수기업 등 대표 기업인 40여 명이 참석해 고용 성과를 공유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부산의 상용근로자 수는 사상 처음으로 100만3000명을 돌파했다. 전년 동월 대비 6만3000명(6.7%) 증가한 수치로, 전국 광역단체 중 증가폭은 두 번째, 주요 도시 중에서는 가장 높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0%, 생애주기 중심의 경제활동인구(15~64세) 기준으로는 68.5%를 기록하며 모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취업자 수는 올해 들어 꾸준히 늘어나며 산업별 구조 변화가 뚜렷하다.
제조업·사무·서비스 등 임금근로자는 지난해보다 약간 줄었지만, 상용직 중심의 안정적 일자리가 크게 늘었다. 반면 자영업 등 비임금 근로자는 감소세다.
전국적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줄어드는 가운데 부산은 오히려 제조 일자리가 전년 동월 대비 만2000명 늘며 지역 산업 경쟁력 회복 신호도 포착됐다.
박형준 시장은 "상용근로자의 꾸준한 증가가 근로자의 소득 안정과 기존 숙련도 축적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다"며 "이는 민선8기 이후 산학협력 강화와 디지털 인재 양성 정책이 결실을 맺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부산시는 앞으로도 ▲민간 투자 유치 확대 ▲센텀2 도시첨단산단 조성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 맞춤형 정책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청년층 대상 디지털 혁신아카데미 운영 및 RISE 사업 등을 통해 ICT·AI 분야 인재 양성을 강화하고 있다.
박 시장은 "모든 구직자가 안정적인 삶의 터전 위에서 각자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청년들이 돌아오고 머무르는 일자리 도시 부산 실현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 경제 전문가는 "부산의 이번 성과는 단순 숫자를 넘어 지역 경제 구조 변화와 질 좋은 일궈 창출이라는 의미가 크다"고 지적하며 "특히 서비스 중심에서 벗어나 첨단 제조와 지식서비스 분야까지 영역을 넓힌 점이 주목된다"고 전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