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독립성 약화 시 채권 시장 '급변동' 가능성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사임과 금리 인하를 재차 요구하면서 향후 물가 재상승 가능성에 대비한 투자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분석 기사를 통해 연준 의장 해임 리스크에 대비해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 보호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 파월 해임 리스크 고조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뒤로 줄곧 파월 의장에 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고, 최근에는 파월 의장 교체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이달 들어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파월 사임 및 금리 인하를 촉구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에는 과도한 연준 건물 개보수 비용을 빌미로 파월을 압박 중이다.
몇 년 전부터 진행된 연준 개보수 총공사 비용은 당초 19억 달러로 추산됐다가 25억 달러로 올랐고,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 주요 인사는 이를 집중 비난했다.
이에 파월 의장은 연준 총감사관인 마이클 호로위츠에게 연준 본부 개보수 비용과 관련 사항들을 검토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월 의장에 대한 전방위적 압박이 거세지고 있지만, 연준 대변인은 파월 의장이 임기인 2026년 5월 15일까지 사임할 계획이 없다고 재차 확인했다. 파월의 이사직 임기는 2028년 1월 31일까지 유효하다.
미국 법상 대통령은 연준 의장을 '정당한 사유(for cause)'가 있을 때에만 해임할 수 있지만, 그 요건의 해석은 여전히 법적으로 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블룸버그] |
◆ 장기물 금리 급등 우려…채권 시장 '변동성' 주의보
통신은 많은 투자자들이 연준의 독립성 약화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해당 리스크를 포트폴리오 전략에 점점 반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 독립성 약화가 현실화되면 금융 자산에서 예상치 못한 급격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미 지난 4월 한 차례 그 위험성을 시장과 백악관은 경험한 바 있다.
☞ 백악관의 '파월 해임' 시도에 베선트가 버선발로 달려나온 이유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최고경영자(CEO) 역시 15일(현지시간)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될 경우 "의도치 않은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거듭 경고했다.
시장은 연준이 트럼프 뜻대로 금리 인하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우려 중이며, 채권 매도로 인해 장기국채 금리가 단기물보다 더 빠르게 상승(커브 스티프닝)할 가능성도 고려하고 있다.
제니 캐피탈의 가이 르바스는 이와 관련 30년물 수익률이 bp 단위가 아니라 % 단위까지 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자칫 100bp(=1%포인트)를 넘나드는 금리 앙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다.
전문가들은 연준 독립성 약화가 장기적 달러 약세와 국채 시장의 변동성 확대, 장기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주택담보대출과 기업 채권 발행 비용도 높아질 것으로 우려했다.
국채시장의 기대 인플레이션을 보여주는 5년물 브레이크이븐 레이트(BEI)의 경우 2.5%를 넘어 3개월 최고치를 기록, 채권시장 투자자들이 향후 몇 년간의 물가 상승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
5년물 BEI(5년물 명목 국채 금리와 5년물 TIPS 금리의 차이) 추이 [사진=koyfin] |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몰라도, 장기 금리 상승은 결국 금융 시장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크리셋캐피탈의 잭 애블린은 "미국 주식은 당장은 괜찮을 수 있지만, 글로벌 자금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연준 독립성에 의문이 제기되면 통화정책 환경이 훨씬 불안정해진다"고 강조했다.
레이먼드 제임스의 맷 오튼은 "리스크는 여전히 크지 않지만 이전보다 높아졌다"며, 채권보다는 금이나 우량 가치·성장주로 포트폴리오를 분산하는 전략을 추천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