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K뷰티 선호도 증가가 매출 상승을 주도
페덱스와의 협약으로 물류 인프라 강화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CJ올리브영의 K뷰티 역직구 플랫폼 '올리브영 글로벌몰'이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K뷰티 대표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
14일 CJ올리브영에 따르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고, 주문 건수도 약 60% 늘었다. 특히 지난 5월 말 일주일간 진행된 '올리브영 서머 세일' 기간에는 매출이 전년 대비 거의 200% 급증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마데카소사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등 특정 성분을 강조한 스킨케어와 선케어 제품들이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행사 상위권을 차지했다.
![]() |
미국인 탄비(Tanvi, 오른쪽)씨와 러셀(Russell, 왼쪽)씨가 올리브영 명동 타운에 마련된 벤딩머신으로 글로벌몰에 가입하는 모습. [사진=CJ올리브영 제공] |
글로벌몰의 성장세를 주도한 국가는 미국으로,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과 상반기 매출 증가분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영국은 무려 300%, 일본은 180%, 동남아시아 국가들인 말레이시아(256%), 필리핀(138%), 싱가포르(191%) 등에서도 두드러진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리브영은 급증하는 해외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글로벌 특송기업 페덱스(FedEx)와 한-미 특송 및 물류 서비스 협약(MOU)을 체결해 물류 인프라 강화에 나섰다.
올리브영은 국내 중소 K뷰티 브랜드들의 해외 진출 기회를 넓히는 데도 힘쓰고 있다. 현재 글로벌몰 입점 브랜드 수는 약 1200개로 론칭 초기 대비 약 9배 증가했으며, 낮은 무료배송 기준과 현지 물류망 구축으로 국내 인디 브랜드와 해외 소비자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구글·애플 계정뿐 아니라 아시아 주요 메신저 '라인(LINE)'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방한 외국인이 귀국 후에도 쇼핑할 수 있도록 주요 매장에 가입 벤딩머신 자판기를 운영해 신규 회원 유입 효과를 높이고 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글로벌몰 성장은 단순 매출 확대를 넘어 중소 K뷰티 브랜드가 해외 고객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K뷰티 대표 플랫폼으로서 더 많은 브랜드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 유통 및 물류 인프라 강화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