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시기와 방식 조율중"
정책실장, 긴급 통상 대책회의 주재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대통령실은 다음달 1일까지 부과시점이 연기된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관련해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결하고자 하고, 정상회담을 비롯한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해 좀 더 국익에 도움되는 방향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8일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관세 협상에 있어서 유예 기간을 좀 더 확보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 |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 [사진=KTV 캡처] |
강 대변인은 미 행정부가 내달 1일부터 우리나라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발송한 것에 대해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긴 하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시간이 촉박했던 것에 미뤄 관세가 인상되는 최악의 상황은 피한 것으로 본다"며 "확보된 시간 만큼 더 나은 결과를 얻길 바라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한미정상회담 시점에 대한 질문에는 "시기가 언제쯤 정해지고 방식이 어떻게 될지 조율 중이고 검토 중인 상황"이라며 "아직은 밝힐 수 없다"고 답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긴급 한미 관세협상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새 정부 출범 이후 한미 통상장관 회담과 안보실장 간 협의,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등 양자·다자 계기를 활용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면서도 "관세 부과라는 복합적 이슈를 포함한 최종 합의 도출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며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한 만큼 협상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관계 부처에 주문했다.
그러면서 "시장 반응이 아직까지는 차분하지만,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자동차·철강 등 관련 산업에 대한 지원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라"며 수출시장 다변화 등 중장기적 대응책 마련에도 속도를 내라고 주문했다.
이어 "현재 미국을 방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귀국하는 대로 대통령실 정책실과 안보실 간 공동회의를 열어 관련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하준경 대통령실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이형일 1차관, 외교부 김진아 2차관, 산업통상자원부 문신학 1차관 등 관계 부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