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8월 1일부터 25% 관세 부과"
정부 "제도 개선·규제 합리화 기회"
산업부, 업종별 긴급점검회의 개최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미국 정부가 내달 1일부터 한국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한국 정부는 관세유예 조치가 사실상 연장된 것으로 보고 남은 기간 관세협상을 타결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8일 오전 1시 20분(한국시간)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 및 발효일자 등이 포함된 서한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 서한은 우리나라에 대해 8월 1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명시했다. 이는 지난 4월 2일 발표한 국별관세와 같은 수준이다.
이번 서한에서 미국 측은 "보다 높은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환적된 상품은 해당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것"이라며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별관세에 보복관세만큼 더해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 |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과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USTR 대표가 5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관세협상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025.07.06 dream@newspim.com |
산업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짧은 시간동안 국익 최우선 원칙을 갖고 치열하게 협상에 임했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이슈들에 대해 합의 도출까지 시간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이어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본다"면서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 상호 호혜적인 협상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 측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국내 제도 개선, 규제 합리화 등과 함께, 양국 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제시했다.
한편 산업부는 제1차관 주재로 관세로 인한 국내 업종별 영향을 점검하기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