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장 퇴임식 당시 눈물·편지 쏟아져
공무원들이 꼽은 정 청장 키워드는 신뢰
외부 상황 흔들림 없어...의사 결정 '신중'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무엇을 잘못했는지 복기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첫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정된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을 떠올린 한 정부 관계자는 당시 정 전 청장이 했던 이 한마디가 기억난다고 합니다. 세계적으로 'K 방역'이라는 말을 이끌어 낼 정도로 '코로나19' 대응에 헌신을 다했지만, 잘해야 한다는 치열함과 처절함이 드러났다는 겁니다.
3일 세종 관가는 정 후보자의 인선을 두고 떠들썩합니다. 문재인 정권 당시 코로나19에 대응하며 동고동락했던 동료가 새 정권 교체와 함께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의 한 빌딩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
다수 공무원은 국민의 인지도와 신뢰도가 높은 '스타성'과 의료계와 공직을 모두 경험한 정 후보자의 이력에 반가운 기색을 드러냈습니다. 정 후보자와 함께 업무를 한 공무원들은 정 후보자가 차분한 리더십과 열정이 있었다고 회상합니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당시 정 후보자와 함께 힘겨운 시간을 버텼습니다. 정 후보자 퇴임식 때는 눈물을 흘리고 편지를 쓴 직원도 많았습니다. 당시 정 후보자를 대상으로 키워드를 정리했을 때, 가장 많이 나온 키워드는 '신뢰'였습니다. '뚝심', '한결'이 다음을 이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그때 당시 별명이 알파고였다"며 "실무 과장보다 내용을 더 많이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보통 본인이 많이 알고 있으면 화를 내는 경우가 있는데 정 후보자는 화를 내지 않았다"며 "언제까지 근거를 만들어 오라고 지시해 밑에 사람들이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고 했습니다.
대비가 철저했던 만큼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코로나19 당시 정 후보자와 일했던 한 정부 관계자는 "코로나19 당시 상황이 급변했는데, 동요하기보다 해야 할 것과 국민에 설명하는 자료를 만드는 데 집중했다"고 기억했습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당시 정 후보자가 '세상에 바꾸는 일에 내가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보람이다'는 말을 했다"며 "업무할 때 논리에서 양보하는 법이 없었다"고 했습니다. 특히 그는 "실무자 입장에서는 좌절할 수 있지만, 정 후보자가 열정을 갖고 업무에 임하는 모습을 보며 공무원들도 마음을 다 잡았다"고 회상했습니다.
정 후보자의 성격에 대해서는 신중한 편이라고 답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의사 결정에 신중한 성격이었다"며 "본인의 의견과 다른 의견을 말하면 그 의견에 대해 차분히 들은 후 종합적으로 판단해 '네 의견이 맞다'고 수긍한 일이 있었다"고 회상했습니다.
다른 정부 관계자도 동조했습니다. 스스로에 꼼꼼한 편으로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진정한 공직자'라는 말이 붙었다고 합니다. 품이 넓어 밑에 사람들을 포용하기도 했습니다.
![]() |
국민이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에 보낸 편지 [자료=질병관리청] 2025.07.02 sdk1991@newspim.com |
반면 복지 경험이 없는 정 후보자의 이력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보통 공무원들은 인사 발령 때마다 복지 업무와 보건 업무를 넘나듭니다. 그런데 정 후보자는 복지부에서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장, 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본부장, 질병관리청장을 역임해 국민연금이나 아동 복지 정책을 맡아 추진한 적이 없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정 후보자가 보건 업무는 잘 알지만, 복지 업무를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며 "복잡한 복지 정책을 잘 이해하고 이끌어 갈 수 있을지 우려가 된다"고 했습니다.
다만 이같은 우려가 기우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한 정부 관계자는 "원래 복지 전문가가 장관으로 오면 보건 업무를 모른다고 하고 보건 전문가가 오면 복지 업무를 모른다고 하지 않느냐"며 "차관 선에서 필요한 사항이 정리될 것이고, 공직을 경험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 후보자 본인 스스로 해명해야 할 부분도 있습니다. 정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에서 코로나19 대응의 책임자를 맡았을 당시 배우자가 코로나19 관련 수혜주를 매입해 수익을 올린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그는 첫 출근길에서 관련한 질문에 "잘못 공개된 내용도 있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정 후보자는 공무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만큼 후보자로서 책임을 다해야 합니다. 첫 문턱은 배우자 논란입니다. '이 시간만 지나면 되겠지'라는 생각보다 '철저히 소명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해야 합니다. 그것이 국민과 동료의 지지에 화답하는 길입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