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6000억원 이어 3000억원 추가 매각
지난해 규모 넘어, 연간 1.2조원 이상 관측
연체율 상승에 은행권 부실채권 매각 속도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KB국민은행이 3분기까지 1조원에 육박하는 부실채권을 매각한다. 지난해 전체 매각규모를 이미 넘어선 수준이다. 미국발 통상위기와 내수부진 등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대응 조치다. 국민은행 뿐 아니라 은행권 전체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민은행은 7월부터 9월까지 약 3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2일 확인됐다. 매각대상채권은 고정이하여신(NPL)으로 분류된 부동산 담보부여신 및 기업회생채권이다.
국민은행은 올해 1분기 2580억원, 2분기 3500억원 등 이미 상반기에 6080억원에 달하는 부실채권을 매각했다. 이번 규모까지 포함하면 3분기까지 9080억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하게 된다.
이는 지난해 8800억원의 연간 부실채권 매각 규모를 이미 넘어선 수준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부실채권 매각 규모는 최대 1조2000억원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시중은행은 연말에 부실채권을 대거 정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이 부실채권 매각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통상위기와 내수부진 등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국민은행의 지난 1분기 연체율은 0.35%로 전분기 0.29% 대비 0.06%포인트(p) 높아졌다. 전년동기 0.25%와 비교하면 1년만에 0.1%p 증가하는 등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1분기 NPL 비율은 0.4%로 전분기 대비 0.08%p, 전년동기 대비 0.07%p 각각 높아졌다.
지난해말 1조2859억원으로 집계된 부실채권금액은 올해 1분기 1조6056억원으로 3000억원 이상 늘었다.
특히 이 중 회수불능이 확실시 되는 '추정손실' 규모가 3000억원에 달하는데 이는 지난해 1690억원 대비 35%나 증가한 수준이다. 부실채권의 규모 뿐 아니라 회수 가능성 자체가 악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 같은 문제는 국민은행 뿐만이 아닌 은행권 전체의 과제이기도 하다.
![]() |
[사진=금감원] |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4월말 국내은행 연체율은 0.57%로 전월대비 0.04%p 증가했다. 이는 2018년 11월(0.6%) 이후 6년 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2월말 연체율 0.58%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이런 추세라면 5월 연체율은 2월말 기록을 넘어섰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업권에서는 은행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고는 있지만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며 과도한 위기론은 경계하고 있다. KB금융 역시 주력 계열사인 국민은행의 1조원 규모 부실채권 매각 추진에도 그룹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과 CET1(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6.57%와 13.67%로 글로벌 기준을 크게 상향한다.
하지만 골목상권의 생계 위기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아 연체율 추가 상승 요인이 적지 않고 여기에 이재명 정부의 대규모 부채탕감 정책이 본격화 되는 등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변수가 많은만큼 선제적 대응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해 부실채권을 선제적으로 정리하려는 측면이 있다. 이런 추세는 은행권 전체의 공통된 흐름"이라며 "건전성 관리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