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인력난 해소 기대...숙련 외국인 비자 쿼터 430명으로 대폭 확대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는 제조업 현장의 인력난 해소와 외국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올해 숙련기능인력(E74) 비자를 기존 160명에서 273명 늘어난 433명으로 확대 배정받았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정부가 각 지자체의 요청을 반영해 추가로 배정한 쿼터 가운데 전북이 단일 지자체로는 가장 높은 증가율(171%)을 기록한 결과다.
전국 광역지자체 중에서도 가장 큰 폭의 쿼터 확대이며, 실제로 충남(87%), 경북(70%), 전남(42%), 대구(5%) 등과 비교해도 압도적인 수치다.
![]() |
전국 최고 수준 비자 추가 확보 설명회[사진=전북자치도]2025.07.02 gojongwin@newspim.com |
숙련기능인력 광역지자체 추천제는 국내에 일정 기간 체류 중인 외국인 근로자가 도지사의 추천을 받아 장기 체류 가능한 E74 비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올해부터는 인구감소지역과 관심지역에 지역특화형(E74R) 비자가 신설돼 전주·군산·완주 등 주요 산업현장의 인력난 해소에 실질적 도움이 될 전망이다.
E9 등 기존 단순취업비자는 최대 약 4년간만 체류가 가능하지만 E74 숙련기능비자로 바꾸면 별도의 상한 없이 2년 단위 연장이 가능하다.
해당 비자로 변경된 외국인은 고용계약 기간 내 안정적으로 머물 수 있고 가족 동반 거주와 취업까지 허용된다. 또 한국어 능력 요건 역시 오는 2026년 말까지 사후 충족으로 완화돼 진입 장벽이 낮아졌다.
전북도는 이번 제도 활성화를 위해 익산·순창·군산·김제·부안 등 시군 순회 설명회를 개최하고 기업 대상 간담회를 열어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 이 과정에서 도내 기업들의 참여 의지가 높아졌고 실제로 신청 및 쿼터 소진 속도가 빨라졌다.
앞으로 도는 기업의 원활한 인력수급과 외국인의 안정적 정착 지원책 마련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정착 프로그램 확대, 일상생활 지원센터 운영, 한국어 교육 및 지역사회 통합 사업 등을 연계 추진한다.
백경태 전북자치도 대외국제소통국장은 "기업의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와 함께 외국인이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책 마련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gojongw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