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폭발, 문 정부 탈원전 정책 관련 가짜뉴스 난무
"이념화된 가짜뉴스…재생에너지 확대에 걸림돌"
[세종=뉴스핌] 이유나 기자 = 사상 최초로 진행된 대선후보 기후환경 토론이 가짜뉴스와 소모적인 논쟁으로 얼룩졌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로 에너지 전환 이슈가 이념화되는 것에 대해 우려스럽다고 입을 모았다. 재생에너지 확대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사상 첫 대선 후보 기후 토론…'가짜뉴스' 난무
27일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 23일 열린 대선 후보 기후 토론에서 가짜 뉴스가 난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경운동연합은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의 발언을 문제 삼았다.
김문수 후보의 "후쿠시마는 폭발이 아니다"라는 주장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후쿠시마 원전은 폭발한 것"이라며 "2011년 일본 동북부 대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해일로 후쿠시마 원전의 전력 공급이 차단됐고, 이로 인해 냉각수 공급 중단으로 후쿠시마 원전 1, 3, 4호기에서 수소 폭발이 일어나 4기의 원전 건물이 훼손됐다"고 정정했다.
![]() |
경북 울진의 신한울원자력발전소.[사진=뉴스핌DB] |
또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가 "문재인 대통령이 영화를 보고 탈원전을 결정했다"고 주장한데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2011년 이후 후쿠시마 사고를 계기로 전 세계의 원전 정책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며 "그 영향 아래 독일과 대만 등이 탈원전을 결정해 각각 2023년과 바로 올해 5월에 모든 원전이 가동 정지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이 가스로 대체돼 수십조 피해가 발생했다'는 김문수 후보의 주장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문재인 정부 임기 중 원전 개수는 줄지 않았다"며 "원전 발전비중이 오히려 30% 수준으로 늘어났다"고 정정했다.
이준석 후보가 '종이 빨대에서 인체해 해로운 물질이 검출된다'고 주장한데 대한 반발도 나왔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은 "외국과 달리, 국내 제지사에서 만든 종이 빨대는 과불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아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는다"며 "이는 여러 팩트체크에서 나온 얘기"라고 설명했다.
◆ 환경 전문가, 에너지 전환 이슈 '이념화' 우려
이에 환경 전문가들은 에너지 전환 이슈가 가짜뉴스로 인해 이념화되는 것을 우려했다.
권필석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여러 차례 팩트체크가 나와도 대선 후보들이 가짜뉴스를 주장하는 것 문제가 있다"며 "계속해서 에너지 이슈를 이념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원전 문제를 과학기반으로 다루는 것을 가로막고 국민 편견을 만든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는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것에도 걸림돌이 될 것"으로 봤다.
![]() |
국내 한 태양광 발전 모습 [사진=뉴스핌 DB] |
또 다른 전문가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대선 후보들의 인식이 국민들의 인식보다 뒤처진다고 지적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사실에 기반한 토론이 필요한데, 일부 대선 후보들이 원전을 이념의 문제로 몰고 가고 있다"며 "이러한 가짜뉴스가 돌아다니면 정책을 논의하고 방향을 잡는데 장벽이 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원전의 두 배였다"며 "대선후보들이 기후위기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한정된 토론 시간이 가짜뉴스로 채워지며, 정작 토론해야 할 기후환경 주제가 뒷전으로 밀렸다는 지적도 나왔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사회통합, 지속가능한 미래, 다음세대에 대한 책임성이 주제가 돼야 했는데 후보들이 원전과 재생에너지로만 논쟁했다"며 "억지 주장도 많아 후보들이 공부했는지, 아니면 상대방을 공격하기 위한 주장을 갖고 나온 건지 상당히 의문스럽다"고 비판했다.
yuna74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