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뉴스핌] 홍재경 기자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차량의 잔여좌석 안내서비스가 지원된다.
인천시는 오는 6월까지 전체 광역버스에 잔여좌석 수 표시기를 설치한다고 30일 밝혔다.
광역버스는 도로교통법 시행령에 따라 입석이 전면 금지돼 있으며 버스 기사와 이용객들이 정확한 빈자리 수를 파악하지 못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 |
잔여좌석 안내서비스가 제공되는 인천~서울 간 광역버스 [사진=인천시] |
시는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급행(M버스) 114대(11개 노선)와 직행좌석 253대(20개 노선)등 모두 377대에 표시기를 설치하기로 했다.
잔여좌석은 교통카드 태그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시는 우선 4개 혼잡노선(1500, 9100, 9501, M6405)에 대해 잔여좌석 수 표시기를 설치하고 이날부터 안내서비스를 시작한다. 시는 버스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표시하면 이용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광역버스 정류장을 개선하고 버스 앞부분에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과 전자노선도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한편 시는 광역버스 종사자 처우를 개선해 현재 50%에 이르는 운행률을 9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김인수 인천시 교통국장은 "시민들이 광역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 잔여좌석 및 정류장 안내서비스 등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hjk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