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전기·전자

속보

더보기

TV도 AI 시대…삼성·LG전자 '프리미엄TV' 이렇게 바뀐다

기사입력 : 2024년03월05일 16:20

최종수정 : 2024년03월05일 16:20

AI 기술로 화질·음향 선명하게 보정
유로·올림픽 열기로 올해 호황 전망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능을 강화한 신형 TV를 잇달아 출시한다. AI 기술을 접목한만큼 화질과 음향이 얼마나 선명하게 보정되느냐가 관건이다.

양사는 지난해 TV 사업이 보릿고개를 넘은 만큼 AI 기능을 탑재한 TV에 더해 올해 파리올림픽 등 스포츠 이벤트 특수까지 노리며 수요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 삼성전자, 네오 QLED 8K에 '3세대 AI 8K 프로세서' 탑재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15일 네오(Neo) QLED 8K·네오 QLED·삼성 OLED 등 다양한 라인업의 2024년형 TV 신제품을 공식 출시한다. 신형 네오 QLED 8K는 삼성 TV 프로세서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지닌 512개의 뉴럴 네트워크를 가진 '3세대 AI 8K 프로세서'를 탑재했다.

삼성전자 2024형 Neo QLED 8K 85형 TV. [사진=삼성전자]

또 2024형 삼성 OLED는 UL의 인증을 받은 'OLED 글래어 프리' 기술을 적용해 색상의 정확도와 선명도를 유지하고 빛 반사를 줄여준다. 영상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AI 기술을 통해 생생한 음향 구현이 가능하며 배경음과 음성을 분리해 음성만 증폭시키는 기능도 갖췄다는게 삼성전자측의 설명이다. 이외에도 98형 네오 QLED·UHD 신제품을 출시해 초대형 제품 라인업을 확대한다.

황태환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3세대 AI 8K 프로세서'를 적용한 Neo QLED 8K, 'OLED Glare Free'로 업그레이드한 삼성 OLED, '거거익선' 트렌드를 주도하는 98형 신제품으로 2024년에도 글로벌 TV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LG전자, 올레드·QNED TV에 AI 딥러능 성능 강화

LG전자는 2024년형 LG 올레드·QNED TV 등을 오는 13일 국내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출시한다. LG전자는 해당 제품이 AI 성능을 대폭 강화한 신규 프로세서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한층 강화된 AI 딥러닝 성능을 통해 더 선명한 화질과 풍성한 공간 음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LG전자 2024년형 LG 올레드 TV. [사진=LG전자]

LG전자는 연내 출시 예정인 세계 최초 무선 투명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V'를 필두로 LG 올레드 에보, 일반형 올레드 TV 등 업계 최다 라인업으로 시장을 공략한다. LG 무선 올레드 TV 라인업은 97·83·77형에서 올해 65형을 추가한다. AV 무선 전송 솔루션은 올해 4K·144Hz로 더욱 고도화했다. 신형 LG 올레드 에보 시리즈의 알파11 프로세서는 알파9 대비 4배 향상된 AI 딥러닝 성능을 갖췄다. LG QNED TV는 프리미엄 LCD TV로 올해 98형을 새로 출시한다.

박형세 LG전자 HE사업본부장은 "2024년형 LG 올레드 TV와 QNED TV는 더 강력해진 AI 프로세서와 더 고도화된 '웹OS' 플랫폼을 탑재했다"고 강조했다.

양사가 출시하는 신형 TV의 가격은 삼성 네오 QLED 4K가 75형 기준 819만원, LG 올레드 TV는 77형 기준 650~900만원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지난해 4분기 각각 500억원(가전 포함), 722억원의 적자를 냈다. 다만 올해 상황은  다르다. 오는 6월 '유로 2024'에 이어 7월 프랑스 파리에서 올림픽이 열린다. 전통적으로 스포츠 이벤트가 열리는 시기에는 TV 시장이 활기를 띤다. 

시장 전망도 긍정적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올해 글로벌 TV 출하량이 전년(2억135만대)보다 1.8% 증가한 2억504만대로 전망했다. 이중 OLED TV 예상 출하량은 629만대로, 전년(557만2600대)보다 12.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kji0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전세 10년 보장법 논란 "당론 아냐"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임차인에게 최장 10년동안 전세계약을 보장하는 더불어민주당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논란이 되자 이재명 대표가 5일 만에 공개 해명했다. 이 대표는 17일 "전세 계약을 10년 보장하는 임대차법 개정의 경우 논의를 거친 당 공식 입장이 아닐뿐더러 개인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급히 해명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뉴스핌DB] 앞서 민주당은 지난 12일 민생연석회의에서 20대 민생 의제를 제시했다. 20대 민생 의제에는 임차인이 최장 10년까지 전세 계약 갱신이 가능하게 한 임대차법 개정안이 포함됐다. 이후 부동산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부작용을 외면한 반시장적 발상'이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논란은 거세졌다. 이 대표는 "국민의 주거권 보장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지만 어떤 정책이든 시장 원리를 거스른 채 정책 효과를 달성하긴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어 "민간 임대차 시장을 위축시켜 세입자에게 불이익이 돌아갈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 또한 새겨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정책에 민감한 중도층의 민심을 사로잡기 위해 5일 만에 당론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plum@newspim.com 2025-03-17 21:20
사진
양주 군부대서 무인기와 헬기 충돌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기도 양주에 있는 한 육군부대 항공대대에서 비행하던 군용 무인기가 착륙한 상태에 헬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7일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5분쯤 경기 양주시 광적면 소재 육군 항공대대에서 무인기가 헬기(수리온)와 충돌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파주=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11일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무건리 훈련장에서 '한미 연합 공중강습 훈련'이 열려 한미 장병들은 태운 수리온 헬기가 공중강습을 위해 착륙하고 있다. 이날 훈련에는 한국군 90여 명, 미군1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수리온 6대가 동원됐다. 2025.03.11 photo@newspim.com 소방당국은 무인기가 착륙해 있는 헬기와 부딪치면서 불꽃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로 군용 헬기 1대와 무인기가 전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출동한 소방은 장비 20대와 인원 50명을 투입했으며 상황 발생 후 29분만에 진화를 마쳤다. 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krawjp@newspim.com 2025-03-17 14:5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