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는 28일 학술대회를 열고 과학 치안 연구 전문기관 설립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치안정책연구소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중구 바비엥2교육센터에서 '안전한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치안 전략: 전문연구 플랫폼'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와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 한국경찰연구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셉테드학회, 한국아이티에스(ITS)학회 등 경찰과 연구기관, 학회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 |
[사진=뉴스핌 DB] |
학술대회는 2개 분과로 이뤄져 진행됐으며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전문 과학치안 연구기관의 필요성 및 설립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제1분과는 '전문 과학치안 연구기관의 필요성과 유사 사례'를 주제로 남두희 한국아이티에스(ITS)학회장이 좌장을 맡았고 우하린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치안정책연구소의 외부환경분석 및 전문 과학치안 연구기관 설립의 필요성 및 향후 방향'을 주제로 발제에 나섰다.
우하린 부연구위원은 "경찰청 부속기관의 부설기관 형태인 현 치안정책연구소 체계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치안정책과 치안과학기술 관련 최고 연구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소속 형태 변경 및 조직개편을 추진하고 정책‧제도와 기술개발의 연계, 융합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장기적 발전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제2분과에서는 '전문 과학치안 연구기관의 설립 방안'을 주제로 박재풍 한국공안행정학회장이 좌장을 맡고 조세현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발제를 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치안정책연구소가 치안 분야 특화연구의 중추적 기관이자 전문연구 플랫폼으로 발전하기 위한 지혜와 고견들이 더 심층적으로 논의되길 기대하고, 경찰청에서는 논의된 내용이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치안정책연구소는 사회과학과 과학기술을 융합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치안 전문 연구기관으로 1980년 '치안연구소'로 경찰대학 내에 개소했고 2005년 공안문제연구소와 통합해 현재의'치안정책연구소'로 개편됐다. 현재는 1과·2부·10개 연구실‧연구센터에 정원 86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