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뉴스핌 채널 추가
뉴스핌 채널 추가 안내
문화·연예 문화·연예정책

서울문화재단 예술지원 2차 통합공모 개시...총 50억 규모

기사입력 : 2023년01월30일 09:21

최종수정 : 2023년01월30일 09:22

1차 공모는 총 118억 규모로 706건 선정...작년 대비 36% 증가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은 예술지원 2차 통합공모를 1월 30일(월)부터 시작한다. 분야별 접수 시작일은 △ 예술기반지원 1월 31(화) △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 2월 1일(수) △ 특성화지원 5개 사업 1월 30일(월)부터로 상이하다.

서울문화재단은 1차 예술지원 통합공모를 예년보다 2개월가량 앞당겨 지난해 9월 30일 공고한 바 있다.이로써 예술가들이 안정적으로 연내 계획을 세워 하반기에 집중되던 예술 활동을 365일 가능토록 개선했다. 또한 산재된 공고 시기를 시기별로 묶어 두 번의 통합공모로 운영함으로써 재단 지원사업에 대한 예측성을 높이고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을 더했다.

지난 1차 공모는 총 118억 규모로 706건이 선정돼 작년 대비 36% 대폭 확대된 선정 규모로 예술가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전년도 기준 상대적으로 연령 사각지대를 보였던 26세 이하의 청년 예술인과 60세 이상의 원로  예술인 대상 총 10억원 규모의 예술지원 트랙을 신설해 청년 예술인에게는 진입 장벽을 낮추고 원로 예술인에게는 지속적인 예술활동 기회를 제공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지난해 서울거리축제의 한 장면 [사진=서울문화재단] 2023.01.30 digibobos@newspim.com

그 결과 첫 데뷔를 앞둔 청년 예술인 신청자(단체) 수는 전년 대비 136%, 60세 이상의 원로 예술인 신청자(단체) 수가 63% 각각 증가하며 관심을 모으는 등 기존 경력 단계별 지원에 생애주기별 지원을 더해 사각지대 없는 그물망 예술지원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번 2차 통합공모는 총 50억 규모로 ▲예술기반지원(RE:SEARCH, 창작예술공간지원, 예술연구활동지원, 시각예술작품집발간지원, 공연예술영상기록지원)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생애주기형, 자율기획형, 지역협력형) ▲특성화지원(서울메세나지원, 거리예술‧서커스지원, 인디음악 생태계 활성화지원, 유망예술지원, 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지원) 등을 포함한다.

예술기반지원(1.31.~2.17.)은 발표 중심의 창작 활동 이외에 창작을 위한 다양한 기반을 지원하는사업이다. ▲구체적 작업계획 수립 전 준비 및 구상 단계의 창작 준비활동을 지원하는 'RE:SEARCH(리서치)' ▲창작 활동의 공간적 토대인 임차료를 지원하는 '창작예술공간지원' ▲동시대 예술 현장과 연관된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예술연구활동지원' ▲시각예술인의 작품을 집대성한 작품집 발간을 지원하는 '시각예술작품집발간지원' ▲공연예술인의 포트폴리오 제작을 위한 영상기록을 지원하는 '공연예술영상기록지원' 등이 있으며 최대 1천만원 이내에서 지원한다. (예술기반지원 문의 02-3290-7475)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2.1.~2.17.)은 일상 속 예술교육으로 시민이 예술의 주체가 되는 경험, 작업을 통해 시민과 만나는 교육예술가의 활동, 공간을 기반으로 지역이 예술가와 만나 변화하는 예술교육을 지원한다.

▲시민 누구나 예술을 경험하고 창작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생애주기별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생애주기형 예술교육지원' ▲예술가의 창작 활동을 기반으로 참신한 시도와 변화를 모색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자율기획형 예술교육지원' ▲지역 문화시설에 문화예술교육사를 지원해 지역자원 활용 프로젝트 다양화와 지역주민의 문화예술 활동 기회를 확대하는 '지역협력형 예술교육지원' 등이 있다.

운영 지원금은 최대 3천만원 이내이며 사업별로 상이하다. 이외에도 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하는 TA공모는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통합공모'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 문의 02-758-2117)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2023.01.30 digibobos@newspim.com

특성화지원은 특성화된 분야 및 대상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예술 생태계가 균등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재단과 기업 협력을 통한 예술단체 창작 활동을 확대하는 '서울메세나지원'(2.20~3.17), ▲거리예술 및 서커스 분야 창작활성화 지원을 위한 '거리예술‧서커스지원'(2.20~3.8), ▲인디음악 생태계 구성원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인디음악 생태계 활성화지원'(2.10~2.28), ▲미래 예술계를 이끌 차세대 예술인을 집중지원하는 '유망예술지원'(2.9~3.3), ▲장애 예술인의 안정적인 창작환경 마련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는 '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지원'(1.30~2.20) 등이 있다. 지원금은 1천만원에서 3천만원까지 각 사업별로 차이가 있다.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더 촘촘해진 그물망 예술지원체계로 창작하기 좋은 환경이 마련되면, 활발해진 예술가의 활동으로 매력적인 도시로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고, 서울 시민도 예술 작품 향유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며 올해부터 본격 개편 적용된 예술지원체계에 대한 기대감을 밝혔다.

2차 통합공모 지원사업은 모두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www.scas.kr)을 통해 지원 가능하다. 세부 사업들의 자세한 일정 및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www.sfac.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3290-7414)

<사업별 문의처>
예술기반지원 02-3290-7475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 02-758-2117
서울메세나지원 02-3290-7056
거리예술‧서커스지원 02-3437-0083
인디음악 생태계활성화지원 02-333-7218
유망예술지원 02-362-9742
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지원 02-423-6680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반도체 특구지정에 몸값 치솟는 '한숲시티'…일주일새 1억2000만원 '쑥'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가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예정지로 선정되면서 일대 주변에 유일한 대단지 아파트 '한숲시티'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일주일 사이 매도 호가가 수천만원 이상 오르고, 직전 거래보다 1억원 이상 높은 가격에 거래가 성사되기도 했다. 기존에 나와있던 매물들도 집주인들이 거둬들이고 있어 추후 가격이 더 올라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대형호재 소식에 당분간 한숲시티 가격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사업계획의 큰 틀만 잡힌 초장기인데다 아직까지 인프라가 부족해 섣불리 매수에 나서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경기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에 위치한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 가격은 당분간 꾸준히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에 위치한 한숲시티. 2023.03.24 min72@newspim.com ◆ 15일 정부 발표 이후 한숲시티 거래 20건…가격 최대 1억2000만원 상승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는 67개동, 6800가구로 이뤄진 대단지 아파트로 2018년 준공됐다. 하지만 2015년 분양 당시 전체 가구의 절반 규모가 미분양 되면서 분양가에 '마이너스프리미엄'이 붙기도 했다. 부족한 인프라와 용인 도심지와도 떨어져있어 대단지 아파트임에도 가격이 오르지 않아 '한숨시티'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불과 1주일새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정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첨단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 덕이다. 정부는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에 2042년까지 300조원을 투자해 첨단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는 등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한숨시티'는 일약 투자처로 재탄생하게 됐다. '미운오리새끼'에서 '백조'로 거듭난 셈이다. 실제 15일 발표 이후 대림한숲시티는 활발한 거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루에만 최다 20건의 거래가 이뤄지는 등 일주일 사이 거래가 크게 늘고 있다. 거래면적별로 보면 ▲전용97㎡ 1건 ▲전용90㎡ 2건 ▲전용84㎡ 10건 ▲전용59㎡ 4건 ▲전용44㎡ 3건 등이다. 거래 가격도 직전 거래보다 최대 1억2000만원 이상 뛰었다. 한숲시티 5단지 전용 84㎡ A타입의 경우 이달 2일 3억3500만원에 거래된 이후 지난 17일 4억5500만원에 손바뀜됐다. 약 2주만에 1억2000만원 가격이 오른 것이다. 4단지에선 전용84㎡ A타입이 지난 18일 4억35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1월 3억2500만원에 거래된 이후 1억1000만원 올랐다. 이처럼 가격이 급등세가 나타면서 집주인들은 매물을 다시 거둬들이고 있다. 추후 교통이 발달하고 인프라가 들어서는 등 개발이 이뤄질 경우 집값이 더 높아질 수 있단 계산에서다. 산단 예정지 인근인 남사읍·이동읍에 등록된 매물은 지난 15일 577건에서 이날 기준 393건으로 47% 가량 줄었다. 유일한 아파트 단지인 만큼 희소성이 높아 호가도 크게 뛰었다. 인근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문의는 많이 오는데 집주인들이 호가를 많이 올려서 거래를 망설이는 경우도 있다"면서 "대형 호재인 만큼 1000만~2000만원 수준이 아니라 5000만원 이상은 기본으로 뛰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이동읍 일대에 위치한 한숲시티에 현수막이 걸려있다. 2023.03.23 min72@newspim.com ◆ 20년 장기 프로젝트…"변수 많아 매수시 유의해야" 사업계획의 큰 틀이 잡힌만큼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될 때마다 한숲시티의 몸값은 더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단이 조성되고 대중교통이나 도로확장 등 교통인프라와 편의시설 등이 들어서고 인근에 아파트단지가 들어설 경우 가치는 더 높아질 전망이다. 부동산 관계자는 "교통이 불편하고 아파트 단지만 덩그러니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직장이 가까운 경우 투자와 실거주 목적으로 매수한다면 나쁘진 않을 것"이라며 "평택같은 경우도 삼성전자가 들어선 뒤 가격이 많이 올라온 것처럼 (산단 예정지 인근도)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20년 이상 소요되는 대형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인 만큼 장기적으로 변수가 많아 섣부르게 매수에 나서는 것은 주의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산단이 조성되는 2042년이면 지금은 신축인 한숲시티가 노후아파트가 되고 신축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선택지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확실한 호재에 가격이 올라가는 추세지만 다양한 규제와 변수들이 생길 수 있고, 공사기간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면서 "10년 재건축도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데 20년 뒤 상황을 예측하고 투자한다는건 쉽지 않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 부동산 시장 상황까지 종합해 볼 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가격 상승이 멈추고 조정시기가 올 것"이라면서 "인근에 인프라가 갖춰지고 개발 밑그림이 어느정도 드러난 뒤 매수에 나서는 것도 늦지 않다"고 덧붙였다.    min72@newspim.com 2023-03-24 08:10
사진
"치킨 비싸서 어디 먹겠나"...'실적 쇼크' 교촌치킨, 3000원 올린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내달 3일부터 소비자 권장 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한다고 24일 밝혔다. 교촌치킨의 이번 가격 조정은 품목별로 500~3000원 사이로 진행된다. 주요 한마리 및 부분육 메뉴는 3000원 인상되며 이외 메뉴들은 사이즈 및 기존 가격대에 따라 500원~2500원 오른다. 블랙시크릿 등 일부 신제품은 가격 조정 없이 동결된다. 교촌치킨 로고. [사진= 교촌에프앤비] 교촌은 가맹점 수익 구조가 악화돼 이번 가격 조정을 결정했다. 2014년 이후 10년간 주요 원자재 가맹점 납품가를 동결했지만 분담비용이 상승하면서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8%를 기록하는 등 본사 지원이 한계에 부딪혀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설명이다. 또 교촌은 붓으로 소스를 바르는 조리과정으로 소요되는 인건비가 여타 치킨업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누적된 비용 상승 부담으로 불가피하게 이번 가격 조정을 결정하게 됐다"며 "고객 여러분께 더 나은 품질과 서비스로 보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촌은 이번 가격 조정과 함께 반마리 세트 메뉴 등 가성비 메뉴들을 출시해 소비자 가격 선택권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romeok@newspim.com 2023-03-24 10:5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