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홍콩증시 오전장 요약] 석탄·테슬라 테마주 약세, 항셍지수 1.18%↓

기사입력 : 2021년11월10일 14:38

최종수정 : 2021년11월10일 14:38

홍콩항셍지수 24520.94 (-292.19, -1.18%)
국유기업지수 8709.28 (-96.74, -1.10%)
항셍테크지수 6188.29 (-33.56, -0.54%)

[서울=뉴스핌] 구나현 기자 = 10일 홍콩증시의 3대 지수는 오전 하락 마감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8% 내린 24520.94포인트를,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1.10% 하락한 8709.28 포인트를,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0.54% 떨어진 6188.29포인트를 기록했다.

섹터별로는 석탄, 테슬라 테마주, 유제품, 전력, 교육, 보험, 가스, 철강, 자동차 등 섹터가 약세를 주도했다. 반면 헝다 계열사, 모바일 게임, 클라우드 컴퓨팅, 유통, 백신, 메타버스 테마주가 강세를 연출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항셍지수 11월 10일 오전 장 거래 추이

◆ 상승섹터: 메타버스 테마주

(1) 메타버스 테마주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글로벌 기업의 메타버스 진출 소식이 전해지자 메타버스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0월 말 페이스북이 연례행사에서 사명을 '메타(Meta)'로 바꾸며 5년 안에 페이스북을 메타버스 중심 기업으로의 전환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11월 초 마이크로소프트는 글로벌 컨퍼런스 '이그나이트(Microsoft Ignite 2021)'에서 자사 개발 메타버스 플랫폼 '메시(Mesh)'를 업무 협업 툴 '팀즈(Teams)'에 접목한다고 발표했다.

안신증권은 메타버스가 새로운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며 2030년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12조 50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 특징주:

텐센트(騰訊控股·0700): 473.800 (+9.800, +2.11%)
심동네트워크(心動公司·2400): 44.650 (+1.100, +2.53%)
순우광학테크(舜宇光學科技·2382): 23.450 (+0.250, +1.08%)

◆ 하락섹터: 석탄, 테슬라 테마주, 유제품

(1) 석탄

▷하락 자극 재료 및 이유:

중국 거래소에서 석탄 선물 가격이 약세를 보인 점이 악재로 작용했다.

이날 연료탄 선물가격은 장중 한때 5.65% 하락하며 지난 8월 30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편, 중국석탄그룹(中煤集團)은 발전용으로 쓰이는 5500NAR급 석탄 가격을 t당 약 1100위안 인하했다.

▷관련 특징주:

옌저우 광업(兗州煤業股份·1171): 11.420 (-0.420, -3.55%)
중국석탄에너지(中煤能源·1898): 4.360 (-0.130, -2.90%)
서우강 푸산 자원 그룹(首鋼資源·0639): 1.940 (-0.060, -3.00%)

(2) 테슬라 테마주

▷하락 자극 재료 및 이유:

간밤 테슬라 주가 하락이 관련 섹터 주가 하락을 견인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 지분 매각을 암시하자 테슬라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9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장대비 11.99% 하락한 1023.50달러에 장을 마쳤다.

▷관련 특징주:

강서강봉이업(贛鋒鋰業·1772): 140.700 (-10.200, -6.76%)
억화정밀공업홀딩스(億和控股·0838): 2.210 (-0.180, -7.53%)
비야디(比亞迪股份·1211): 294.800 (-15.800, -5.09%)

(3) 유제품

▷하락 자극 재료 및 이유:

중국의 유제품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유제품 소비를 억제한다는 기사가 보도되자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경제일보에 따르면 중국 유제품 가격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진입했으나 1인당 유제품 소비량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유제품 가격이 지나치게 높게 형성되어 있으면 중국 원유 자급률 상승과 업계 경쟁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관련 특징주:

멍뉴우유(蒙牛乳業·2319): 45.400 (-3.450, -7.06%)
현대목업(現代牧業·1117): 1.390 (-0.050, -3.47%)
차이나페이흐(中國飛鶴·6186): 11.440 (-0.140, -1.21%)

gu1218@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