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지표

속보

더보기

1인가구 비중 30% 넘었다…'월세'가 절반

기사입력 : 2020년12월08일 12:00

최종수정 : 2020년12월08일 12:00

20~20대가 35% 차지…서울·경기에 42% 거주
1인가구 연소득 2116만원…전체의 36.3% 수준

[세종=뉴스핌] 민경하 기자 = 우리나라 전체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이 30%를 넘어섰다. 1인가구 10가구 중 5가구는 월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0 통계로 보는 1인가구'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우리나라 1인가구는 총 614만8000가구로 집계됐다. 전체 2034만3000가구의 30.2%에 해당한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가 전체 1인가구의 1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30대(16.8%), 50대(16.3%), 60대(15.2%) 순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주로 30~50대에서, 여자는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1인가구 비중이 높았다.

2020 통계로 보는 1인가구 [자료=통계청] 2020.12.08 204mkh@newspim.com

지역별로는 전체 1인가구의 40% 이상이 서울·경기에 거주하고 있었다. 서울(21.1%), 경기(21.0%)에 이어 부산(6.9%), 경남(6.4%) 순으로 높았다.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은 대전(33.7%)이 가장 높았다.

전체 1인가구의 47.3%는 월세를 내며 거주하고 있었다. 이어 자가(30.6%), 전세(15.8%), 순으로 주택점유형태 비중이 높았다. 전체 1인가구 53.7%는 40㎡ 이하의 주거면적에 거주하고 있었다. 1인가구가 필요로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전세자금대출(29.9%)이 가장 높았고 월세 보조금(21.0%), 장기 공공임대주택(16.7%)이 뒤를 이었다.

취업자인 1인가구는 10가구 중 6가구(60.8%) 수준이었다. 1인가구의 주당 취업시간은 평균 40.3시간으로 전년보다 0.8시간 감소했다.

지난 2018년 기준 1인가구 연소득은 2116만원으로 전체 가구의 36.3% 수준이었다. 1인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142만6000원으로 주거·수도·광열(17.9%), 음식·숙박(16.0%)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지난 2019년 기준 1인가구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4.2시간으로 전체 인구 대비 1.2배 수준이었다. 1인가구 10가구 중 약 3가구는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이 5만원 미만이었다.

강유경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는 "1인가구의 비중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고 연령·성별·지역에 따라 1인가구 비중이 차이를 보였다"며 "1인 가구 중 30대 이하 비중이 35% 정도 차지하면서 월세에 거주하는 비율 또한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4mk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사진
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내란 특검(특별검사)'이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에 2차 소환조사 일자를 다시 통지했다. 특검팀이 다시 통지한 일자는 오는 5일 오전 9시다. 박지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이 금일 특검 출석에 응하지 않고 불응했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하라고 통지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5일 오전 9시 출석하지 않는 경우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전날 윤 전 대통령 측이 제출한 의견서에서 5일 이후 출석에는 응하겠단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만약 그때도 출석에 응하지 않으면 요건이 다 갖춰진 이상 법원에서도 (체포영장을) 내주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특검보는 특검이 재통보한 일정에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1:2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