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뉴스핌] 양상현 기자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추가 발병 소식에 경기 연천군과 인접한 포천시에도 비상이 걸렸다.
시는 거점 소독시설과 통제초소를 확대하는 등 방역에 총력을 쏟고 있지만, 일부 현장에서는 대응에 허점을 보이고 있어 지자체의 느슨한 대응에 자칫 방역에 구멍이 뚫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
20일 오후, 포천시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긴급 회의가 열리고 있다.[사진=양상현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일 오전 9시 30분경 경기 파주의 농장 2곳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관계자가 현장에서 세부 내용을 파악 중이다.
앞서 지난 17일 파주, 18일 연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이 나왔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총 1만372마리의 돼지가 살처분·매몰됐다.
농식품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총 544개 농장에 대한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다. 19일 오후 4시 기준, 56개 농장에 대한 검사를 완료했다. 모두 음성으로 판명됐다.
포천시도 19일 현재 2개소의 이동방역초소를 추가로 설치·운영해 방역태세를 강화했다. 지금까지 영중면 거점소독시설을 포함해 총 4개소(창수면, 영북면, 신북면)의 방역초소를 운영하고 있다. 가축 운반 차량과 축산농가 출입차량 등이 방역 대상이다.
![]() |
포천시 창수면 군자동 거점소독초소에서 축산이동차량 소독이 이뤄지고 있다.[사진=양상현 기자] |
또 관내 모든 양돈농가 진입로에 통제인력을 배치하고, 출입 인원과 차량에 대한 통제와 소독을 진행 중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대응이 심각 단계로 격상되자 경기도도 ASF 확산방지를 위해 40억원을 추가 긴급 지원해 거점소독시설과 통제초소를 확대키로 했다.
이번 조치는 “경기도가 최후방어선이라는 각오로 시군과 긴밀하게 협력해 최대 강도의 ‘현장중심 대응’을 하라”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뉴스핌 취재 결과, 포천시는 17일 파주서 ASF가 발생한 이래 사흘이 지나도록 정확한 돼지 사육농장 수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포천시는 지난 17일 관내 양돈농가는 총 159농가로, 27만8000여 두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164농가 27만8628두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사실은 양돈농가를 오가는 사람과 차량을 통제해야 하기 위해 포천시가 모든 사육농가에 인력을 배치하기로 한 과정에서 밝혀졌다.
![]() |
포천시의 가축 사육농가 및 사육두수 보고 축산 현황판 [사진=양상현 기자] |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한 돼지농가에서 2개 이상의 사육농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어, 농식품부에 등록된 농가수는 159농가이며, 실제 사육농장은 164개소"라고 해명했다.
일부 지자체의 느슨한 대응에 자칫 방역에 구멍이 뚫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yangsangh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