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샤오홍슈 이용자, 90년대생 70% ↑
구매력 높고 커뮤니티 문화 활성화
[서울=뉴스핌] 조아영 기자 = 중국 시장 내 주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지우링허우(1990년대 이후 출생자)'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쇼핑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글로벌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자)와 특징은 대체적으로 유사하지만, 지우링허우는 구매력이 더 높고 커뮤니티 중심 문화가 발달한 것이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HS애드는 27일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호텔 알레그레홀에서 '중국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 컨퍼런스'를 중국 전문 애드테크(Adtech) 플랫폼사인 '아이클릭(iClick)'과 공동으로 개최했다.
![]() |
| 손호진 HS애드 중국법인장이 27일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호텔 알레그레홀에서 열린 '중국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 컨퍼런스'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조아영 기자] |
이날 컨퍼런스는 중국의 소비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지우링허우를 이해하고 관련한 마케팅 방향성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중국 IT기업 마케팅 전문가들은 지우링허우의 특징으로 SNS활동과 이를 통한 쇼핑이 활발한 점을 꼽았다.
예샨샨 샤오홍슈 브랜드마케팅 솔루션 헤드는 "샤오홍슈의 주 고객층은 인터넷을 자주 접하고 제품을 구매하는데 익숙한 '90허우(1990년 이후 출생자)', '95허우(1995년 이후 출생자)'로 그 중 80%가 여성"이라며 "1일 평균 20만개 이상의 콘텐츠가 샤오홍슈에 올려지고 있고, 연예인과 왕홍(인플루언서) 활동도 활발하다"고 설명했다.
샤오홍슈는 중국판 인스타그램으로 불리는 SNS 플랫폼으로, 소셜네트워크와 온라인 쇼핑몰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체 이용자의 70% 이상이 90년대 출생자로 구성된다.
이민정 아이클릭 수석이사는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Z세대 보유 국가"라며 "74%의 Z세대는 여가시간을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소비하고, 그 중 25%는 5시간 이상 온라인에 접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 수석이사는 "중국의 95허우 세대에서 SNS쇼핑이 대세를 이루게 된 것은 중국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워낙 보편적인 데다가 대부분 외동자녀(소황제)로 자라서 구매력이 크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Z세대와 비교했을 때 중국 지우링허우들의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구매력과 커뮤니티화였다.
손호진 HS애드 중국법인장은 "지우링허우는 글로벌 Z세대와 유사하지만, 국내나 전세계 Z세대와 비교했을 때 훨씬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제2의 소황제'로 키워져 구매력이 높은 편"이라며 "모바일 인프라 등 구매 편의성도 더 발달된 환경을 누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와 비슷한 카테고리를 설정해 커뮤니티 형태로 소비한다"면서 "인플루언서에 대한 팬덤 문화도 활발해, 문화와 소비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우링허우가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며 중국 시장 마케팅 전략도 달라지고 있다. 손 HS애드 중국법인장은 "과거에는 중국 시장 전체를 하나로 생각하고 마케팅을 하다가 지역 별로 구분하는 단계로 넘어갔고, 이제는 세대나 관심사 등에 대한 카테고리별로 공략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likey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