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在韩中国人Talk!】③在韩国传递中国的声音——专访电台主持人朴龙君

기사입력 : 2019년04월05일 10:24

최종수정 : 2019년07월16일 14:15

每天,我们会通过各种渠道获取资讯,收听广播是主要媒介之一。我们虽早已习惯使用智能手机了解天下大事,但广播依然是日常生活中不可或缺的一部分。

电台主持人朴龙君【图片=记者 周钰涵】

如果您在韩国收听中文广播,定会熟悉他的声音。从小怀揣主持梦想的他,一踏入大学便进入广播站,随后在哈尔滨人民广播电台(以下简称哈广)工作。即便身在异国他乡,他也没有放弃梦想,通过努力先后成为KBS国际广播电台和首尔交通广播电台(tbs)主持人,他就NEWSPIM中文网本期的采访嘉宾朴龙君,他希望把中国的声音传递给韩国听众。

朴龙君毕业于哈尔滨理工大学远东学院朝鲜语专业。一般而言,应届毕业生往往从事与专业对口的工作,但他却另辟蹊径。朴龙君笑称:“以前特想进修英语专业,但由于分数的微弱差距被调至朝鲜语专业。小时的梦想是成为一名主持人,进入大学后室友推荐我去校内广播站。记得试音结束后全场鸦雀无声,大家一致称赞我有一副好嗓音。从那时起,我才对播音产生自信。”

朴龙君主持tbs电台中秋特别节目【图片=NEWSPIM】

谈到在学校广播站参与的节目,朴龙君表示:“我先后主持早间节目《健康快车》和午间节目《新闻广角》。前一档节目主要告诉同学们如何在学习生活中增强体质,后者则主要传递国内外时政要闻。”

回忆起当时在广播站经历的点滴,朴龙君说:“那段时光犹如一块敲门砖,一条通往主持人之路的大门向我敞开,我对这个行业产生浓厚兴趣,也为未来从事该行业奠定了基础。四年的广播站生活让我受益良多。”

从大一至毕业,朴龙君始终坚守在广播站的岗位上。对毕业后未从事与朝鲜语相关工作,朴龙君坦言,自己在大三时便通过比赛进入哈广,为自己争取到实习机会。从那时起,他确定了事业方向,踏上了实现儿时梦想的征程。

首度进入电台,朴龙君兴奋不已,他被分配至新闻频率。哈广人才济济,做一名合格的主持人除了播音,还需要熟练掌握采访和编辑。起初,他从最基本的记者做起,朴龙君表示:“我主要采访的是社会领域,通过与市民们的交流,聆听他们心声的同时,也锻炼了与人沟通的能力。同时,我也学习如何写一份真正的新闻稿,这也为我做主持人后写广播稿奠定基础。采访之路虽无比辛苦,但同样也学到许多知识,都说记者是无冕之王,那段时间我深有体会。”

朴龙君录制KBS国际电台节目【图片=NEWSPIM】

除此之外,朴龙君实习期间也担任哈广整点新闻的播音工作。他笑称:“那时非常珍惜这来之不易的机会,可以说是兴奋与紧张并存。为争取到更多实践机会,我毛遂自荐,主动向台申请主持整点新闻,当时真是拼尽了全力。”

朴龙君共在哈广度过两个春秋,他如愿以偿,成为电台晚间时段新闻主持人。谈到工作中的困难,朴龙君毫不犹豫说出“采访”二字,他表示:“我们在做固定主持人的同时也需发现身边素材,前去采访。通过与市民的交流,可以更好的了解民情,苦中有乐。”

出于对韩国的好奇,朴龙君于2011年不顾哈广领导的挽留毅然决然辞去工作来到异国他乡。他本以为到韩国可继续从事播音工作,但“理想丰满现实骨感”,找不到工作的他承受着巨大压力。他说:“那时把就业想的过于简单,但现实是很残忍的。无奈下,我在韩国的第一份工作是中文教师,一做就是三年。”

做教师的这段时间,朴龙君虽很迷茫,但他仍未放弃做主持人的梦想。就在这时,机会之门向他敞开。他说:“我无意中通过中国人论坛看到首尔交通广播电台(tbs)的撰稿人招聘,当时心里无比开心,不论是主持人还是撰稿人,我又可以做回本行了。”

登台主持前的朴龙君【图片=NEWSPIM】

2013年10月tbs中文节目开播,朴龙君以撰稿人身份成为首批进入该台的中国工作人员。万事开头难,朴龙君表示:“作为撰稿人,我们需要联系嘉宾,编辑台本,每个流程都没有前车之鉴,都是摸着石头过河。这个过程中,我参与录制电台公益广告和片花。”

朴龙君在tbs终于迎来成为主播的绝佳机会,但却吃了闭门羹。他说:“当时我向电台领导表示出当主持人的意愿,最初被回绝。经过不懈努力,领导被我的工作热情打动,2015年3月正式走入tbs的直播间。”其间,朴龙君也通过前辈引荐在KBS国际广播电台参与主持活动。

随着朴龙君的声音被众多韩中听众熟知,工作面也越来越宽广,做主持人之余,他还是一名专业声优,为多家大企业广告配音,为中文学院录制听力教材。朴龙君还产生了创业的念头并付诸实践,他与朋友的小电台成立了。朴龙君说:“成立电台出自‘合伙人’的想法,他有很好的实践力。节目在中国网络电台平台每周播出一期,主要以人物为主线,通过采访在韩国工作的各行各业的中国人及会中文的韩国人,增进两国民众深入了解。目前第一季已收官,我们正筹划第二季,不排除保持原有电台节目的基础上,拍摄脱口秀形式的视频。”

席间,朴龙君主播也谈到了自己的“自由职业”,他说:“这个职业给我带来最大的乐趣就是自由,名如其实。我是一个比较安逸的人,通过这个职业,我可以自主平衡个人时间与工作强度。工作时全身心投入,休息时完全放松,我很满意现在的生活。”

朴龙君主持tbs电台中文特别节目【图片=NEWSPIM】

对于未来想向韩中听众传递怎样的信息,朴龙君表示,面向韩国听众,希望介绍最真实的中国,改变他们的固有观念,向他们传递中国的声音;面向中国听众,希望尽最大所能提供新鲜资讯和韩国的方方面面,加深两国民众友谊。

谈到未来规划,朴龙君笑道:“我虽对未来没有特别规划,但觉得人应尽最大可能做好当下事,那么未来的一切也会水到渠成。如果说终极规划,我会把目光转向拥有广阔发展空间的中国,但目前还是希望在韩国继续历练。”

采访最后,朴龙君向在韩国学习与工作的中国人加油打气,他说:“对于国内的朋友而言,在外中国人总显得那么光鲜亮丽。殊不知,我们今天取得的成功背后却付出了常人难以想象的汗水。不论是在韩国深造的留学生,还是工作在各行业的中国朋友,我希望你们在完成学业和工作之余,给自己一些时间享受生活的美好。”

记者 주옥함(wodemay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