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사회 인사

[인사] 현대해상

기사입력 : 2018년12월31일 17:32

최종수정 : 2018년12월31일 17:32

◇ 부장승진 (22명)


▲ 홍보부장 김동욱(金東煜) ▲ 시스템지원부장 이주원(李周源)

▲ 현대재산보험유한공사총경리 김태훈(金兌勳) ▲ 재물특종업무부장 이재용(李在鏞)

▲ 글로벌보험부장 홍승민(洪承民) ▲ 공기업보험부장 김종성(金鍾星)

▲ 법인영업1부장 백부흠(白富欽) ▲ 법인영업3부장 김윤래(金潤來)

▲ 영등포사업부장 이용진(李容珍) ▲ 강릉사업부장 송일언(宋一焉)

▲ 안양사업부장 김병훈(金炳勳) ▲ 부천사업부장 김택규(金澤奎)

▲ 전주사업부장 길준희(吉俊喜) ▲ 전북사업부장 조 용(趙鄘)

▲ 동울산사업부장 이제영(李提永) ▲ 전략채널지원부장 강상우(姜尙佑)

▲ 인터넷사업부장 백경훈(白京薰) ▲ 장기손사기획부장 성기동(成耆東)

▲ 강남대인보상부장 김남호(金南鎬) ▲ 울산대인보상부장 김병용(金秉勇)

▲ 전주대인보상부장 홍상호(洪相鎬) ▲ 개인융자부장 손성철(孫成哲)

 

◇ 부장전보 (35명)

▲ CS지원부장 이민우(李敏雨) ▲ 기획실장 유원식(劉元植)

▲ 디지털전략추진부장 정규완(鄭圭完) ▲ 기업보험2부장 김재홍(金宰弘)

▲ 마케팅기획부장 김종석(金鍾石) ▲ 마케팅지원부장 권혁준(權赫晙)

▲ 강남AM사업부장 김재용(金載容) ▲ 중부AM사업부장 김종만(金鍾萬)

▲ 부산AM사업부장 이승민(李承玟) ▲ 중부사업부장 윤영수(尹榮洙)

▲ 일산사업부장 최근협(崔根協) ▲ 구리사업부장 이해근(李海根)

▲ 강남본부지원부장 김호섭(金昊燮) ▲ 강서사업부장 전 혁(全赫)

▲ 수원사업부장 김부중(金富中) ▲ 중부본부지원부장 신재용(申載容)

▲ 서산사업부장 송기원(宋基元) ▲ 호남본부지원부장 박희찬(朴喜燦)

▲ 광주사업부장 박종문(朴鍾文) ▲ 목포사업부장 최호석(崔皓晳)

▲ 울산사업부장 최상천(崔相天) ▲ 진주사업부장 구성모(具成謨)

▲ 대구경북본부지원부장 오원열(吳沅烈) ▲ 대구사업부장 한교일(韓敎一)

▲ 동대구사업부장 조석현(趙錫鉉) ▲ 방카영업1부장 김민식(金閔植)

▲ 수도권장기손사부장 김진형(金珍亨) ▲ 강서대인보상부장 박연승(朴連承)

▲ 수원대인보상부장 이용택(李龍宅) ▲ 인천대인보상부장 임진주(林鎭周)

▲ 강원대인보상부장 이인형(李仁馨) ▲ 부산대인보상부장 이병훈(李秉勳)

▲ 충청대인보상부장 윤기훈(尹基勳) ▲ 투자심사부장 엄희석(嚴熙錫)

▲ 투자금융부장 이재경(李在敬)

 

0I08709489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법,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특별검사)'의 재구속 적법성 여부가 오는 18일 나온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형사9-2부(재판장 류창성)오는 18일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을 진행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중앙지법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인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다음 날 새벽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hyun9@newspim.com 2025-07-16 14:41
사진
'강선우 임명' 딜레마 빠진 대통령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과 해명 번복, 임금 체불 논란 등이 이어지며 여론이 악화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인사 원칙과 여성 내각 구성이라는 정치적 목표 사이에서 셈법이 복잡해진 분위기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5일 마무리됐지만, 논란은 오히려 커졌다.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선 익명 폭로가 이어지고, 여성단체들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담을 토로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결정을 미루고 있다. 남은 청문회 과정을 모두 지켜본 후 종합 판단하겠다는 게 현재까지 대통령실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임명 강행'과 '철회' 사이에서 득실 계산이 한창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4 photo@newspim.com ◆ 여성 인재 중용 기조...정치적 부담 상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여성 인재 중용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내각 여성 비율을 30% 목표로 한다고 공언했으며, 여성가족부를 존치한 배경에도 그 같은 상징성이 깔려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 외에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여성 후보자들이 줄줄이 청문회에 오르면서, 한 명의 낙마가 전체 균형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적 부담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는 현직 국회의원이다. 만약 청문회를 거쳐 낙마할 경우, 이는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현역 의원 낙마' 사례가 된다. 이는 청문회 제도와 야당의 검증력을 키워주는 반면, 여당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의 리스크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시민사회와 보좌진들 사이에 형성된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 자체에 흠이 날 수 있다. 강 후보자는 앞서 '사적 지시는 없었다'는 취지로 부인했으나, 이후 공개된 텔레그램 메시지로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7.14 mironj19@newspim.com ◆ '버티기 인사' 반복시 내각 전체 불신 확산 우려 또한 임명 강행은 향후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에도 불똥을 튀게 할 수 있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버티기 인사'를 반복하면, 결국 전체 내각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게 일부의 우려다. 대통령실은 16일 이후 여론 흐름 등을 토대로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까지 모두 지켜본 뒤, 장관 인선을 '패키지'로 정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권 초반 인사를 둘러싼 시험대에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강 후보자의 임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여성 인재 정책과 인사 기준, 여당 내 권력구도와도 맞물린 상징적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회의원에게 보좌진은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의정활동 전반을 보좌하는 파트너이자 국민과 국회를 잇는 다리"라며 "그런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 2025-07-16 14:3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