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단일국 수출기업의 현황과 수출성과' 분석 결과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글로벌 경제 충격에 대비해 수출 국가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기업 중 단일 국가로 수출하는 기업이 전체의 절반을 넘어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1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이 발표한 '단일국 수출기업의 현황과 수출성과 분석'에 따르면 1개 국가로만 수출하는 '단일국 수출기업'이 전체 수출기업의 50.3%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이들이 전체 수출 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에 불과하지만 수출기업의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1%에 달했다.
미국 또는 중국으로만 수출하는 기업은 단일국 수출기업의 35.9%, 전체 수출기업 중에서는 18.1%를 차지했다. 수출업계 고용의 7.4%를 차지하는 규모다.
보고서는 "미국 또는 중국으로 수출이 편중된 기업들은 미·중 통상 갈등에 따른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 장치 부재로 직간접적 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수출 품목 수와 대상 국가 수 별 기업 수(2016, 비중(%)). [자료=무협] |
실제로 단일국 수출기업은 수출 다변화 기업에 비해 생존율(수출 지속률)이 현저히 낮다. 2007년 이후 수출을 시작한 기업을 대상으로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초기 수출대상국 수가 2개 이상인 기업들의 5년, 10년 생존율은 각각 45.2%, 33.4%로 단일국 수출기업 21.3%, 14.1%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또한 초기 수출대상국 수나 품목 수가 많을수록 생존율이 높아 수출 시작 단계부터 시장 다변화를 고려한 경영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건우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원은 "보호무역주의가 심화될수록 수출 다변화를 통한 수출 안정화 효과는 높아진다"면서 "중소 규모의 신생 수출기업 대상 경영 멘토링, 해외시장 정보 제공, 바이어 네트워킹 활성화 등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수출 지속연도별 생준율(지속률) 비교. [자료=무협] |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