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2016년부터 사무환경 개선 사업
낙후된 경찰서 교통조사계 리모델링
조사실 칸막이 설치해 인권·사생활 보호
[서울=뉴스핌] 박진숙 기자=#지난 3일, 용산경찰서 교통조사계를 방문한 A씨(76)는 입구 쪽에 있는 소파에 앉아 차를 마시며 자기 차례를 기다렸다.
A씨의 차례가 되자 경찰관이 직접 A씨 쪽으로 다가와 CCTV 영상과 블랙박스 등 교통사고 조사에 필요한 자료들을 설명했다.
A씨는 “조사를 받으러 온 게 아니라 카페에 온 것 같다”며 “오래 서 있는 게 불편한데 편하게 앉아 있으니까 더 많은 얘기를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민원인들이 카페처럼 편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서울 용산구 용산경찰서 교통조사계에서 한 민원인이 자기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2018.10.11 justice@newspim.com <사진=박진숙 기자> |
교통사고 이후 불안해하고 짜증을 내며 찾던 경찰서 교통조사실이 편안하게 바뀌고 있다.
경찰청은 2016년부터 매년 예산 20억을 투입해 지방청 경찰서 교통조사계 개선 사업을 하고 있다.
김태환 경찰청 교통조사계 경감은 11일 “민원인들이 가장 많이 와서 조사를 받는 곳이 교통조사계인데 건물이 낙후돼 있고, 공간도 협소하다 보니 개선할 필요가 있어 개축했다”고 말했다.
사무환경 개선 대상 경찰서는 교통조사계 건물의 건축 연도와 준공 연도, 면적, 노후도 등을 검토해 선정한다. 2016년 21곳, 2017년 20곳, 2018년 20곳을 선정했다.
교통조사계에는 ‘조사실’이라는 팻말이 붙은 유리로 가려진 방도 있다. 조사를 받을 때 개인 정보 유출이나 사생활 침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조사 전용 공간이다.
![]() |
올해 8월 16일 개선 사업한 서울 동작구 동작경찰서 교통사고조사계에 배치되어 있는 조사실. 2018.10.11 justice@newspim.com <사진=박진숙 기자> |
김 경감은 “별도의 조사실이 없으면 민원인의 인적사항 등 신분이 노출될 수 있고, 말하는 내용을 다 듣게 되다 보니 인권과 사생활을 존중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조사실에 칸막이를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조사실은 경찰서마다 대부분 2~3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지난해 개축한 영등포경찰서 교통조사계는 지역 특성상 교통사고 관련 민원인이 많아 조사실을 5개로 설치했다.
영등포경찰서 교통조사계 김문상 경감은 “예전에는 경찰서 분위기 때문에 민원인들이 진술할 때 위축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지금은 조사실이 칸막이로 가려져 있어서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편하게 말하는 등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 |
10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경찰서에서 최주봉 교통조사계 경위가 칸막이로 가려진 조사실에서 경찰서를 방문한 민원인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2018.10.11 justice@newspim.com <사진=박진숙 기자> |
경찰청 관계자는 “2019년에도 전국 경찰서 20곳을 선정해 개선 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라며 “조사과정에서의 민원인 인권 보호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justi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