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미식천국' 상하이에 가면 꼭 먹어야 할 10대 별미

기사입력 : 2018년02월08일 17:21

최종수정 : 2018년02월08일 17:21

[뉴스핌=이동현기자] 중국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인 먹거리 체험. 중국의 경제 수도 상하이는 다양한 먹거리를 자랑하는데요. 특히 상하이 거리 곳곳에는 주머니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소소한 먹거리인 샤오츠(小吃)가 풍부해 여행자들은 입으로 누리는 ‘호사’를 맛볼 수 있습니다. 상하이 토속음식으로 유명한 10대 별미를 한번 들여다 보겠습니다.  

유더우푸셴펀탕<사진=바이두(百度)>

◆유더우푸셴펀탕(油豆腐線粉湯)

개운한 맛의 국물이 일품인 유더우푸셴펀탕(油豆腐線粉湯).

상하이 사람들은 마른 먹거리에다 국물류 음식을 곁들여 먹는 식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더우푸셴펀탕은 겉으로 보기에는 싱겁고 담백한 국물뿐이지만 상하이의 또다른 별미인 기름진 성젠(生煎)과 곁들어 먹으면 안성맞춤입니다.

추운 겨울날 유부와 당면이 가득한 뜨거운 유더우푸션펀탕을 먹으면서 여행 중 쌓인 피로를 풀기에 딱 좋은 음식입니다. 

난샹샤오룽바오<사진=바이두(百度)>

난샹샤오룽바오(南翔小籠包)

중국 요리의 대명사인 샤오룽바오(小籠包). 원조 샤오룽바오를 맛보고 싶다면 상하이 간판 관광지인 위위안(豫園 예원)으로 발걸음을 옮기십시오.

샤오룽바오의 대표 음식점인 난샹만두점(南翔馒头店)의 매장이 위위안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난샹만두점을 방문한 ‘식객’들은 얇은 만두피에 뜨거운 육즙, 신선한 고기소가 어우러진 샤오룽바오로 제대로 ‘입 호강’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샤오룽바오는 지난 1871년 상하이 난샹(南翔) 마을의 식당주인 황민셴(黃明賢)이 개발한 요리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위위안(豫園)에 들를 시간이 없는 분들도 안심! 샤오룽바오는 길거리 매점뿐 아니라 호텔, 식당 등에서도 손쉽게 맛 볼 수 있습니다.

레이사위안<사진=바이두(百度)>

◆상하이레이사위안(上海圆)

청나라 말기 레이(雷) 성을 가진 식당 여주인이 만들어낸 상하이 별미 레이사위안.

이 여주인이 손님들을 위해 내놓은 찹쌀가루를 묻힌 경단은 당시 굉장한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 후 경단에다 찹쌀가루 외에도 콩고물, 팥고물 등 다양한 곡물가루를 고명으로 삼아 다양한 맛의 레이사위안을 선보이게 됩니다.

레이사위안에는 콩과 깨로 만든 소가 들어갑니다. 여기에다 팥,콩 등 다양한 고물로 달짝지근하고 고소한 맛이 더해지게 됩니다. 달콤한 디저트를 선호한다면 레이사위안을 '강추'해 드립니다.  

카이양충유반몐<사진=바이두(百度)>


◆카이양충여우반몐(開洋蔥油拌面)

베이징에 짜장면이 있다면 상하이에는 카이양충유반몐이 있습니다.

이 면요리는 파를 볶아 고소한 향기를 풍기는 파기름으로 볶은 면에다 술과 설탕을 섞어서 튀긴 새우를 곁들인 음식입니다.

카이양(開洋)은 새우를 가리키는 상하이 말인데요. 막 볶아낸 따끈한 면에다 새우를 얹은 상하이 토속 면요리를 마주하면 어떤 진수성찬도 부럽지 않습니다.

성젠<사진=바이두(百度)>

 ◆성젠(生煎)

한입 깨어 물면 돼지고기 육즙이 입 안 가득 고이는 상하이 별미 성젠(生煎).

성젠은 돼지고기와 야채 소를 듬뿍 넣은 후 납작한 솥에 구운 만두입니다. 다진 실파와 깨를 뿌려 구운 성젠의 먹음직스런 겉모양을 통해서도 그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막 구워냈을 때 먹어야 성젠의 진가를 음미 할 수 있습니다.

셰커황<사진=바이두(百度)>

 ◆셰커황(蟹壳黄)

게의 등껍질을 닮은 상하이 토속먹거리 ‘셰커황(蟹壳黄)’.

여행자들은 상하이 거리 곳곳에서 셰커황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음식은 둥글게 빚은 밀가루 반죽에다 깨를 묻힌 후 가마솥에 구워서 만들어집니다.   

셰커황의 속은 달달하고 겉은 바삭하고 향긋해서 식사 후 차와 곁들인 디저트로도 안성맞춤입니다.

파이구녠가오<사진=바이두(百度)>

파이구녠가오(排骨年糕)

돼지갈비와 떡의 환상적인 절묘한 조화를 이뤄 탄성을 지워내게 하는 파이구녠가오. 이 요리는 돼지갈비의 맛이 쫄깃한 떡 속에 스며들어 환상적인 궁합을 자랑합니다.

파이구녠가오(排骨年糕)는 상하이 토속음식으로 이미 5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돼지 갈비의 특유의 짙은 향기와 떡의 연하고 바삭바삭한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상하이의 대표 별미입니다.

산셴훈둔<사진=바이두(百度)>

◆산셴샤오훈둔(三馄饨)

한국에 만둣국이 있다면, 중국에는 ‘훈둔(馄饨)’이 있습니다.

기름진 중국 음식이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만둣국처럼 술술 넘어가는 상하이의 산셴샤오훈둔을 추천해 드립니다.

훈둔은 납작한 모양의 만두로 속에는 돼지고기 소가 들어가 있습니다. 맑은 훈둔탕에는 계란 지단, 새우, 김 3가지 고명이 훈둔과 어우러져 시원한 국물맛을 음미 할 수 있습니다.

상하이탕가오<사진=바이두(百度)>

◆상하이탕가오(上海糖糕)

달콤한 식후 디저트가 생각난다면 상하이식 도넛인 탕가오(糖糕)!

탕가오는 찹쌀가루 반죽을 튀긴 후 설탕을 묻힌 전통 떡의 일종입니다.기름에 튀긴 탕가오는 얼핏 보기에는 느끼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입 깨어 물면 달콤한 설탕 맛과 더불어 바삭바삭하게 튀겨진 찹쌀의 식감을 음미할 수 있습니다. 

하이탕가오<사진=바이두(百度)>

◆상하이 하이탕가오(海棠糕)

중국판 '붕어빵'이자 상하이 대표 길거리 음식 하이탕가오(海棠糕).

하이탕가오는 달콤한 맛으로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간식거리입니다. 이 떡의 모양이 해당화를 닮았다고 해서 하이탕가오란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이탕가오 안에는 달콤한 팥이 들어가 있어서 우리나라 붕어빵 맛을 연상시킵니다. 상하이 길거리에서 갑자기 출출할 때는 하이탕가오를 드셔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재계 총수들, '트럼프 Jr' 만남 총출동 [서울=뉴스핌] 서영욱 남라다 김아영 조민교 기자 = 3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 사업 현안을 전달하고 정책적 협력을 요청하기 위한 행보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인사들의 면담은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의 한 구역에서 열렸다.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집무실이 있는 건물이다. 건물 주변에 많은 취재진이 대기 중이지만, 철저한 보안으로 인해 오고 가는 재계 인사들을 마주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30일 오전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 인근 커피 매장에서 포착된 김동선 부사장(왼쪽)과 김동원 사장 [사진=독자 제공] 이날 오전 한화그룹의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3형제가 트럼프 주니어를 만난 재계 인사 중 가장 먼저 언론에 포착됐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일관 생산단지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조성 중이다. 연간 8.4GW 규모의 이 시설은 약 13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현지 생산 비중을 70%까지 높여 미국의 자국 우선 조달 정책에 대응하고 관세 부담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사업에서도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 지분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오스탈은 앨라배마와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 소형 수상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롯데그룹도 트럼프 주니어와의 접촉에 나섰다. 신동빈 회장과 인도네시아 출장에 나섰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은 이날 오전 귀국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다. 롯데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에 보유한 바이오 공장을 중심으로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 바이오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임상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공장에서 첫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미국 내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설비 확충과 고객사 확보에 나선 롯데는, 신 부사장을 통해 트럼프 주니어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개별 면담을 가졌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신공장을 짓고 있다. 총 700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미국 시장 내 K푸드 수출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회장은 미국 내 식품 수출 시 애로사항과 관세 이슈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 이해진 네이버 의장,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날 "인공지능(AI)과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에도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정용진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만들어달라는 재계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곧장 정 회장 자택으로 이동해 만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면담이 끝나는 대로 이날 밤 출국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2025-04-30 14:24
사진
'김문수·한동훈' 최종 승자는 누구 [서울=뉴스핌] 박서영 김가희기자 =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결선 진출자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이름을 올렸다. 반탄(탄핵반대)파 김 후보와 찬탄(탄핵찬성)파 한 후보가 2파전을 겨루게 된 가운데 최종 1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3차 경선에 진출할 후보자 2명을 발표했다. 안철수·홍준표 후보는 탈락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가나다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결과를 발표하며 "과반 득표자가 없어 3차 경선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깊이 고민하시고 이번 투표에 참여해주신 존경하는 당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2강 후보에 진입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같이 마지막 경선을 하게 된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미래가 창창한 대한민국을 위해 한 후보께서 많은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인사를 전했다. 한 후보는 "어려운 대선 상황에서 김 후보와 제가 생각은 조금 다르지만 2인 3각의 마음으로 하나의 후보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서야 한다"며 "남은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이재명과 싸워 이기는 한 팀이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 후보는 경선 결과 발표 직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입당시켜, 3차 경선에 진출하는 2명의 후보와 '원샷 국민 경선'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그 부분은 조금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경선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도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다.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것이고 당에서도 생각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차차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 후보는 한 대행을 포함한 '원샷 경선'이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탈락한) 6명은 치열한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갑자기 (한 대행이)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한편 이날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한 안 후보는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을 막고 정권교체 이루는 데 제 힘을 바치겠다. 우리 당의 승리가 국민 승리고 역사의 승리"라고 소회를 전했다. 홍 후보는 이날 결선 탈락을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홍 후보는 "정치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되어 감사하다. 이제 시민으로,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 27∼28일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됐다. 당원 투표엔 76만5773명 중 39만4명(50.93%)이 참여했고 국민 여론조사는 5개 기관에서 6000명(역선택 방지 적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순위와 득표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결선에 진출한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누가 앞섰는지 알 수 없다. 이날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 2명은 오는 30일 양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다음달 1∼2일 양일 동안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거친 후 같은달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1명을 선출할 계획이다. seo00@newspim.com 2025-04-29 15:4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