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M, 올 상반기 8편 선보여..매출은 1252억원
롯데는 4편, 312억 매출에 그쳐..전체 영화시장 하향세
[뉴스핌=전지현 기자] CJ와 롯데 등 국내 유통 대기업들이 올 상반기 선보인 국·내외 영화배급 성적표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 |
23일 금융감독원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CJ그룹 계열 영화 투자·배급사인 CJ E&M은 상반기 한국영화 배급을 통해 125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CJ E&M의 영화배급 전체 매출(1521억원)의 82.3% 수준이다. CJ E&M은 전체 15편 영화 배급 중 8편을 한국 영화로 선보였다.
오리온그룹이 운영하는 쇼박스는 상반기 단 두편의 영화를 선보였다. 모두 한국 영화였고, 매출은 312억원이었다.
롯데 계열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전체에서 49%(312억원)가 한국영화를 통한 매출이었고, 상영편수는 11편 중 단 4편에 그쳤다.
각 사별로 올해 상반기 한국 영화 매출이 상반됐던 이유는 흥행작 때문이었다. CJ E&M은 '공조', '조작된 도시', '임금님의 사건수첩',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리얼' 등을 선보인 가운데 지난 1월 개봉한 '공조'가 관객 동원 7459명으로 흥행에 성공했다.
반면, 롯데엔터테인먼트와 쇼박스는 상반기에 개봉했던 한국영화들이 편수도 적었을 뿐 아니라 '보안관', '해빙'과 '프리즌', '특별시민' 등이 흥행면에서도 부진한 성적표를 거뒀다.
![]() |
국내 유통사들이 한국영화에 대한 투자·배급을 주저하는 데는 전체 영화시장 하향세에 한국 영화 선호도 줄기 때문인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영화 매출과 관객은 23일 기준 각각 1조4267억원, 1억7820만명으로, 지난해(1월~10월) 1조4477억원, 1억8418만명에 비해 약 210억원, 598만명 줄었다.
이 중 현재 한국영화 관람객수(8746만)는 전체 중 49.1%를 기록, 전년 53.7%보다 4.6%p 하락했고, 매출(6945억원) 역시 전체의 48.7%수준으로, 2015년 51.3%와 2016년 53.2%에 비해 매년 감소세다.
다만, CJ는 상반기 유통 3사중 압도적인 한국영화 편수와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하반기에도 한국 영화 선호도를 이어갈 전망이다.
CJ E&M는 '군함도'(7월 개봉), 현재 상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남한산성'의 후속작으로 '침묵', '그것만이 내 세상', '1987' 등 3개 작품 등이 개봉을 준비중이다.
롯데와 오리온은 '7호실', '신과함께'와 '희생부활자', '꾼', '부활', 곤지암' 등 각각 3~4편의 한국 영화가 남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액션물이나 할리우드 블로버스터를 극장에서 관람하는 외국영화 선호도로 한국계 영화가 비수기를 이어가며 관객몰이에 애를 먹고 있다"며 "문화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자부심으로 한국 영화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전지현 기자 (cjh7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