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부 출범 100일 맞아 ‘대국민 보고대회’
“주 52시간 노동제 조기 확립하고 연차휴가 다 사용해야 아이 키울 수 있어”
[뉴스핌=송의준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일자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좋은 일자리 만들기는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세금을 더 많이 내고 소비하는 사람들을 늘리는 길"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8시부터 한 시간 동안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된 문재인정부 출범 100일 기념 '대한민국 대한국민' 국민인수위원회 대국민 보고대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출범 100일 기념 '대한민국 대한국민' 국민인수위원회 대국민 보고대회에서 배성재 아나운서와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의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 행사는 지난주 취임 100일을 맞은 문재인정부의 국정운영 성과를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200여명의 국민인수위원이 제안한 정책에 대해 청와대 수석들과 부처 장관들이 직접 참석해 답변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행사가 40여분간 진행된 밤 8시 40분쯤 자리했는데,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 달라’, ‘아이 낳고 싶은 나라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에 대한 답변을 직접했다.
먼저, 일자리 문제에 대해선 “지난해 7월과 올해 7월을 비교했을 때 취업자 수는 증가했지만, 내용을 보면 청년 취업자 수가 줄어든 반면 고령자의 비정규직 취업이 느는 등 일자리의 질이 낮아졌다”고 우려했다.
이어 “새 정부의 일자리정책에 대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한다는 걱정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를 보면 베이비부머 자녀 세대들이 현재 일자리를 구하고 있다”며 “베이버부머 세대가 곧 은퇴하면 이후엔 큰 비용이 들어가지 않고, 특히 오히려 청년 일자리가 걱정이 아닌 노동력 확보가 걱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2022년까지 노동인구 증가가 계속되지만 그 이후엔 5년마다 100만명씩 급속도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리가 일본의 노동 환경을 몇 년 늦게 따라 가는데, 일본이 우리보다 청년 일자리 문제가 심각했다가 올해는 역전돼서 사상 유례없는 청년 취업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또 ‘아이 낳고 싶은 나라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에 대해선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나라, 아이를 낳고 싶은 나라를 만들어야 되는데, 엄마만 아이를 기르는 부담이 있어 엄마와 아빠가 함께 아이를 기르도록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제 아들, 딸도 아이가 하나씩 있는데, 한 명 더 낳으라고 권해도 엄두가 안 난다고 한다”면서 “지금처럼 이렇게 아이를 낳지 않으면 앞으로 대한민국은 어떻게 되겠나. 올해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하는데, 몇 년 지나면 대한민국의 총 인구가 줄어든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주 52시간 노동제를 빨리 확립하고 연차휴가 다 사용하도록 해서 일하는 부모가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법“이라고 제시했다.
한편, 문 대통령이 자리한 후 이날 행사를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과 진행했던 배성재 아나운서의 요청으로 객석에 앉아있던 김정숙 여사가 단상에 올랐다. 김 여사는 지난달 집중호우로 수해를 겪은 청주지역에서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했던 소감과 “문 대통령이 초심을 잃지 않도록 제가 지키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뉴스핌 Newspim] 송의준 기자 (mymind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