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현수 기자] ‘알쓸신잡’ 유시민 작가의 항소이유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 9일 방송된 tvN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에는 유시민 작가가 출연, 항소이유서 뒷이야기를 털어놨다. 유시민은 과거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1985년 ‘서울대 프락치 사건’ 배후로 지목돼 구속된 후 옥중에서 직접 항소이유서를 썼다.
![]() |
이날 유시민은 “그때를 회고하면 어떠냐. 그 글에 대해서 언급하는 걸 듣고 싶다”는 요청에 “1심에서 1년 6개월 형을 받았는데 사실 나는 한 대도 안 때려봤다. 나는 관계가 없는데 형사가 자꾸 만나자 그래서 슬리퍼 신고 동네 다방에 만나러 갔다가 잡혀갔다”고 입을 열었다.
![]() |
이어 유시민은 “나는 진술도 안 했는데 이미 주범이라 자백했다는 진술서가 작성돼 있었다”며 “그때 변호사가 항소이유서 내야 하는데 각자 써보면 어떻겠냐 해서 그러자고 했다. 그러고 보름 정도 시간이 있었다. 그때가 스물여섯이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 |
유시민은 “초고를 다 쓸 때까지 얼마의 시간이 걸렸느냐”는 질문에 “순수하게 쓴 시간은 14시간 정도다. 퇴고는 없다. 항소이유서는 총 세 부를 만들어야 한다. 한 부는 교도소, 한 부는 법원, 한 부는 검찰청에 보낸다. 미농지 중간 중간에 먹지를 깔고 안 나오는 볼펜으로 쓴다. 초고를 쓰고 하는 게 없다. 일필휘지가 아니고 그렇게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
유시민은 “(항소이유서가) 원고지 200자짜리 100장 분량이었다. 단편 소설 하나 정도 되는 분량이었다. 초고 쓰고 교정하고를 머릿속에서 다 해야 하는 거다. 누워서 첫 문장부터 마지막 문장까지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거다. 그리고 마음에 안 들면 수정하는 거다. 원고지 100장 정도를 머릿속에 다 집어넣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유시민은 또 “(항소이유서) 중간에 한자가 나온다. 그때 내가 사기 읽고 있었고 맹자 읽었기 때문에 그런 게 나오는 거다. 근데 한자를 성격상 써줘야 한다. 오해의 여지가 없게 한자를 써야 한다. 그래서 한자 연습 미리 해서 손에 익게 했다. 오자가 안 나게. 그렇게 해서 오전 10시에 가서 한 문장씩 썼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이현수 기자 (newmedia@newspim.com) <사진=tvN '알쓸신잡' 방송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