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스타트업] 엄마 취향저격 수조원회사 등극, 불황에 강한 '미아'

기사입력 : 2017년04월06일 17:23

최종수정 : 2017년04월06일 18:16

중국 최대의 유아용품 해외직구 온라인 플랫폼
영유아 산업 생태계의 핵심 브랜드로 성장 야심

[편집자] 이 기사는 4월 5일 오후 6시03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동현기자]‘30대 전업주부가 설립한 기업가치 100 억위안 규모의 유아용품 전문 해외직구 플랫폼’

중국의 신세대 주부 류난(劉楠)은 해외직구 플랫폼 미아(蜜芽,MIA)을 설립 한지 불과 5년만에 중국 최대의 유아용품 전문 온라인 플랫폼으로 성장시켰다. 그 비결은 ‘100% 정품보장, 엄선된 해외 고품질 유아용품, 탁월한 가성비’ 와 같은 유통업체의 고유 경쟁력을 강화해서 중국 엄마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받은 것.  

시장조사기관 이관(易观)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유아용품 온라인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37.6% 성장한 3020억 위안(약 54조원)에 달했다. 중국 정부의 두 자녀 정책 등 호재로 인해 중국 유아용품 산업은 매년 두 자리 수 이상의 고속성장을 실현하면서 불황을 모르는 유망업종으로 각광 받고 있다.

미아는 창업초기인 2014년 1월 벤처캐피털인 진격기금(真格基金)로부터 수백 만위안 규모의 시리즈 A 투자금을 유치했다. 미아는 최근까지 총 5차례 투자 자금을 유치하면서 보유한 운영자금 규모가 10억 위안을 상회한다.   

◆30대 전업주부, 전자상거래 리더 변신

미아의 CEO 류난(劉楠)은 중국의 핵심 소비계층인 여성들이 주도하는 타징지(她經濟)의 대표주자로 꼽힌다. 류난은 타오바오(淘宝)의 조그만 입점업체로 사업을 시작해 일약 중국 최대 유아용품 온라인 플랫폼의 수장이 됐다. 

류난(劉楠)은 베이징대 신문방송학과를 나온 재원이었다. 하지만 베이징대에서 전공인 신문방송학에 흥미를 붙이고 못하고 대학 성적도 변변치 못했다.졸업 후 한때 외국계 회사에서 근무를 하다 2011년 결혼 후 전업주부로 생활을 했다.

그 후 일상생활 속에서 중국의 주부들이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는 고품질 유아용품에 대한 강렬한 니즈를 발견,유아 용품 사업에 뛰어들기로 결심했다.

2011년 10월 류난은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淘宝)에서 유아용품을 취급하는 점포를 개설해 본격적으로 사업에 뛰어 들었다. 그 후 타오바오에서 2년간 일본산 기저귀인 메리스(Merries) 정품만을 취급하면서 판매가 급증해 타오바오가 선정하는 우수 점포로 꼽혔다.

류난은 2013년 12월 독자적으로 해외직구 플랫폼인 미아바오베이(蜜芽宝贝)를 설립해 진격기금(真格基金),험봉화흥(险峰华兴)으로부터 엔젤투자 펀딩에 성공했다. 류난은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구매후 14일 안에 자유롭게 반품이 가능하게 했다. 여기에다 핑안보험(中国平安)과 손을 잡고 전제품 정품 보증을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한층 향상시켰다.

특히 하기스,네슬레 등 글로벌 유명 유아용품 업체와 협력을 진행해 우수한 유아용품 확보에 성공했다. 현재 미아는 유아용품 온라인 플랫폼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하며 직원 1000여명을 거느린 회사로 성장했다. 

팸퍼스와의 협약식에 참석한 미아 CEO 류난<사진=바이두(百度)>

글로벌 업체와 직거래,유통단계 축소

미아는 해외 유명 유아용품과의 직거래로 유통단계를 축소해 차별화된 공급망(supply chain) 경쟁력을 확보했다. 

미아의 경영진은 창업 당시부터 자신들을 전자상거래가 아닌 유통업체라고 정의했다. 유통업체의 경쟁력의 핵심은 바로 공급망이다. 미아의 공급망은 매우 단순한게 특징이다. 직접 영유아 용품 업체와 접촉해 다논(Danone),엔파밀,네슬레를 비롯한 글로벌 분유업체 및 하기스, 팸퍼스,유니참(Unicham)등 해외 종이 기저귀업체와 직거래를 한다.

미아측은 유통업체의 경쟁력이 고품질 제품 및 브랜드를 확보,유통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데 있다고 판단했다. 이런 전략하에 최대한 물류 효율을 향상시키고 온•오프라인 판매 채널에 합리적인 제품 배분을 통해 고객에게 우수한 가성비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기존의 해외직구가 15개의 단계를 거쳤다면 미아는 5단계로 축소해 물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했다. 특히 중국내 해외직구 시범 보세구역의 창고(國家跨境電商試點保稅區倉庫)를 활용해 물류 절차를 간소화했다.

이와 관련해 미아는 2014년 닝보보세구해관(寧波保稅區海關)과 협약을 맺고 해외 직구 사업을 전개해 왔다.

미아의 경영진은 유통의 본질적인 경쟁력이 공급망 및 물류 문제임을 인식, 다른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소홀히 하는 점을 공략해 탁월한 경쟁력을 확보했다.

미아에서 판매되는 한국 유아용품<사진=바이두(百度)>

사업 다각화로 영유아 산업 생태계 구축

미아는 전자 상거래 외에도 교육,의료,여행 등 분야에서 다각도로 사업 확장을 모색하고 있다. 미아는 다양한 엔젤(Angel) 시장을 개척해 영유아 산업 생태계를 주도하는 핵심 브랜드로 성장할 계획이다.

이 회사의 CEO인 류난(劉楠)은 향후 경영비전에 대해 “유아 용품을 기반으로 의료, 교육 등 영유아 산업 생태계로 사업을 확장해 영유아 전문 브랜드로 성장하겠다”고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이와 관련해 미아는 2016년 2월 소아과 전문 의료기관 메이중이허(美中宜和) 및 중국 최대 키즈 놀이공간 업체인 유유탕(悠游堂)과 손을 잡고 영유아 시장을 공동 개척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조기교육업체 훙황란(紅黃藍)과 협력해 합작사를 설립하는 등 종합 아동 서비스 업체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복합 키즈 놀이공간인 ‘미아랜드’ (蜜芽乐园)를 중국 전역에 걸쳐 확대 개설할 예정이다. 미아의 경영진은 기혼자들이 외출시 자녀들을 대동해 쇼핑몰의 유아용 놀이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이 회사는 미라랜드를 ‘체험형 마케팅’을 시행하는 공간으로 삼고 있다.

미아는 향후 중국 주요 도시 20개 도시에 걸쳐 약 200곳의 미아랜드를 구축해 모바일,오프라인 체험공간,온라인을 연계하는 키즈 전문 ‘옴니채널’을 가진 브랜드로 거듭날 전망이다.

체험형 키즈 놀이공간 미아랜드<사진=바이두(百度)>

콘텐츠 마케팅 연계, 왕훙 전문가 활용

미아는 전자상거래에 콘텐츠를 본격적으로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미아는 콘텐츠를 핵심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을 본격적으로 시행해 광범위한 소비자들을 유인하고 있다.

유아용품의 핵심 고객인 신세대 엄마들은 디지털 세대이다. 이런 주력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육아정보 및 콘텐츠를 공급해 ‘스마트 맘(MOM)’의 마음을 사로 잡았다. 

미아는 영유아 분야에서 왕훙(網紅)과 같은 유명한 인사들과 협력, 인터넷 커뮤니티,온라인 생방송 플랫폼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고품질 유아용 제품을 소개하는 콘텐츠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중국 주부들 사이에서 유명한 소아과 의사 추이위타오(崔玉涛)와 손을 잡고 육아 프로그램를 제작했다. 여기에다 100여 명의 전문의료진과 공동으로 온라인 생방송 콘텐츠를 방영하고 있다.

이런 전략의 일환으로 미아는 2016년 7월 중국 국제아동용품 국제전람회에서 제품 전문가 10여명과 현장에서 생방송으로 유아용품을 소개했다. 이 방송은 미아 앱(app)을 비롯한 온라인 생방송 플랫폼 7 곳에서 실시간으로 방영됐다. 이를 통해 육아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전문가들과 실시간으로 노하우를 공유해 신세대 엄마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얻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