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거시.정책

속보

더보기

2016년 중국의 한자 規와 變...트럼프,홍황지력,박근혜의 친신간정 유행

기사입력 : 2016년12월23일 09:10

최종수정 : 2016년12월23일 21:58

알파고, 자전거공유. 눈팅 츠과족, 볼썽사나운 라옌징도 인터넷 달궈

[뉴스핌=배상희 기자] 2016년 중국의 모습을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다면 무엇일까. 올해 중국을 대표하는 유행어와 신조어, 인터넷용어 등을 통해 한 해 동안 중국인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았던 이슈를 재조명해본다. 

중국 교육부 산하 국가언어자원조사연구센터, 중국 최대 출판사 상무인서관, 인민망은 올해 중국을 대표하는 한자와 단어로 ‘규범 규(規)’와 ‘소박한 목표(小目標)’를 선정했다. 

‘규’는 과거의 규범(관습)에서 정수를 취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는 새로운 규범과 융합한다는 의미를, '소박한 목표'는 이룰 수 없을 것만 같던 원대한 꿈도 여러 개의 작은 목표들로 나눠 성실히 노력하면 쟁취해낼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있다.

국제관계를 규정하는 한자와 단어로는 변할 변(變)과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가 선택됐다. 다사다난했던 대외적 국면과 중국몽(夢)의 세계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중국어언자원조사연구센터는 “새로운 규칙 하에 소박한 목표들을 실현하고, 변동하는 정세에서 일대일로를 성사시킨다는 의미에서 2016년의 국내외 한자와 단어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2016년 중국을 대표하는 한자 '규'와 단어 '소목표' <사진=중국CCTV>

◆ 10대 유행어…도널드 트럼프, 박근혜 대통령 측근정치

올 한해 중국인들 사이에서 유행한 10대 용어는 장정정신(長征精神), 양학일주(兩學一做), 항저우(杭州)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남중국해, 리우올림픽,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미국 대선, 친신간정(親信幹政∙비선에 의한 측근정치), 톈궁2호(天宮二號), 알파고(阿爾法圍棋)다.  

장정정신은 80년전인 1936년 10월 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홍군(紅軍)이 2년만에 2만5000리 대장정을 완성한 역사적 사실에서 나온 단어다. 절체절명의 위기를 이겨낸 정신적 승리를 표현하는 말로 올해 자주 사용됐다. 

양학일주는 '두 가지를 학습하고(學), 한 가지를 행한다(做)'는 의미로, 공산당 당헌(黨憲)과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연설문을 학습해, 참된 공산당원이 되자는 뜻을 담고 있다. 올해 2월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은 관련 학습교육방안을 전체 당원에 통지하며, 공산당 기율 강화에 나섰다. 

올해 9월 4~5일 중국 항저우에서 개최된 G20(좌), 미국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우) <사진=바이두>

2016년 9월 4~5일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제11차 G20 정상회의도 2016년 유행어로 선정됐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만큼 화려하게 개막한 올해 정상회의에서는 세계경제의 저성장 국면 탈피, 글로벌 금융시스템 강화, 보호무역주의 거부 등의 내용이 담긴 ‘항저우 컨센서스(공동성명)’가 채택됐다. 

2016년 최대의 블랙스완(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이나, 발생하면 엄청난 충격을 가져다주는 사건)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도 최대 이슈로 꼽힌다. 트럼프 정권 하의 보호무역주의와 이에 따른 대미 수출 제동, 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패권경쟁 등 주요2개국(G2) 지형의 변화가 예고됐다. 

비선실세, 측근이 나라 정치를 좌지우지하는 친신간정이란 단어도 눈에 띈다. 한국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이끈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 중국 매체에서 연일 불거져 나온 단어로, 비선실세에 의한 측근정치란 뜻으로 표현된다. 

중국이 쏘아올린 두 번째 시험용 우주정거장인 톈궁2호 또한 화제어로 꼽혔다. 중국 정부는 중추절(中秋節·추석)인 지난 9월 15일 오후 10시 4분(현지시간)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톈궁2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본격적인 우주 굴기(堀起·중흥정책)를 알렸다.

올해 3월 이세돌 9단에게 패배를 안겨준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도 화제를 모았다. 이세돌 9단과의 대결 이후, 중국을 대표하는 바둑기사 커제(柯洁) 9단은 자신의 SNS에 “알파고와 꼭 싸우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또 한번 인간과 AI 간의 대국이 성사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

◆ 10대 신조어...홍황지력, 이모티콘팩, 친구게이트 

올해 새롭게 등장한 10대 신조어는 양학일주, 홍황지력(洪荒之力∙태고의 힘), 이모티콘팩(表情包), 둥찬(凍產∙생산동결), 알파고, 웹 빅무비(網絡大電影), 모바이크(摩拜單車), 짝퉁사회단체(山寨社團), 츠과족(吃瓜群眾), 친구게이트(閨蜜門∙구이미먼)가 꼽혔다.

홍황지력은 올해 8월 브라질 리우 올림픽이 낳은 스타인 중국 수영선수 푸위안후이(傅園慧)가 히트시킨 유행어다. 푸이안후이는 리우 올림픽 여자 100m 배영 준결승에서 3위를 기록한 이후 진행된 인터뷰에서, 중국 CCTV 기자의 “결승을 위해 컨디션을 아껴뒀냐”는 질문에 “(힘을) 남겨두지 않았다. 난 홍황지력까지 다했다. 이미 만족한다”고 답했다. 특유의 천진난만함과 솔직함이 돋보인 인터뷰로 푸위안후이는 리우의 스타로 떠올랐고, 우리의 젖먹던 힘까지 다했다는 말과 유사한 홍황지력이란 용어는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이모티콘팩 또한 올해를 대표하는 10대 신조어에 꼽혔다. 연예인, 어록, 만화, 동영상 캡처 등을 소재로, 수천 수 만가지 표정의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것으로, 중국 최대 SNS인 웨이보(微博) 등을 통해 네티즌들 사이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푸위안후이(傅園慧) 이모티콘(좌), 라탸오정탐(辣條偵探) 포스터. <사진=바이두>

짝퉁사회단체(山寨社團)는 경기, 행사, 교육 등을 명목으로 회원들을 모집해 회비를 받고 수익을 챙기는 가짜 사회단체를 일컫는 용어다. 이들은 중국, 중화, 전국 등의 단어를 이용한 이름을 내걸고 합법적인 협회나 단체인 것처럼 활동하며, 불법적인 수익을 챙겨왔다. 중국공익총회, 중국담보협회, 중국제품질량 협회 등이 대표적 적발 사례다. 2016년 10월 12일 현재까지 중국 민정부가 3차에 걸쳐 공개한 명단에 속한 짝퉁사회단체는 총 1287개에 달했다.  

웹 빅무비는 재생시간이 60분 이상이고, 일반 영화와 같은 시나리오와 구성을 갖춘 우수한 인터넷 영화를 가리킨다. 2014년 등장, 인터넷을 통해 인기를 끌기 시작한 이후 2015년에는 622편으로 늘어났다. 도신풍운 2016(賭神風雲 2016), 라탸오정탐(辣條偵探), 굿바이! 스페어타이어(再見!備胎) 등이 대표적 작품이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의미하는 친구게이트(閨蜜門)도 올해 신조어에 포함됐다. 이밖에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석유 생산 동결 논의로 화제를 모은 둥찬, 오포(OFO)와 함께 중국 자전거 공유서비스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신흥기업 모바이크 또한 10대 신조어로 선정됐다.

◆ 10대 네티즌 풍자어...츠과족, 거유탕, 란서우샹구

2016년 인터넷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널리 이용된 10대 네티즌 유행어는 홍황지력, 소박한 목표를 갖다(定个小目标), 츠과족(吃瓜群众), 취약한 우정(友誼的小船), 라옌징(辣眼睛), 취안스타오루(全是套路), 거유탕(葛优躺), 란서우샹구(藍瘦香菇), 라오쓰지(老司機), 리하이러워더거(厲害了我的哥) 등이다.

‘소박한 목표’는 지난 9월 왕젠린(王健林) 완다그룹 회장이 중국 동남위성TV(東南衛視)의 인터뷰프로그램인 '루위의 인터뷰(魯豫有約)'에 출연해 언급한 말에서 유행했다. 당시 왕 회장은 “청년들이 큰 욕심을 갖기 보다는 먼저 소박한 목표를 가져야 한다”면서 “예를 들면 우선 작게 1억 위안(약 173억원) 벌기 같은 것이다”라는 발언을 해 네티즌들 사이에서 공분을 일으켰다. 왕 회장의 이 같은 발언은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들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무모한 발언으로 지적을 받으며, 중국인들 사이에서 조롱 섞인 의미로 회자됐다.

츠과족(좌)과 취약한 우정(友誼的小船.우)을 희화적으로 표현한 카툰. <사진=바이두>

올해 중국 인터넷 게시판을 살펴보면 '수박팝니다', '츠과족 왔다감' 등의 댓글을 쉽사리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츠과족은 직역하면 ‘수박(西瓜) 또는 씨앗(瓜)을 먹는 사람들’이라고 번역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활발히 의견을 개진하는 사람들과 달리, 글은 보되 의견을 내지 않고 그냥 눈팅만하면서 방관하는 네티즌들의 모습을 이같이 표현했다.

'취약한 우정'은 '친구간의 우정은 작은 말 한마디에도 갈라설 수 있을 만큼 취약하다(友誼的小船,說翻就翻)'라 말에서 나온 용어로, 2014~2015년부터 이를 묘사한 카툰과 함께 인터넷에서 유행을 탔다. 이 단어는 올해 다양한 버전의 카툰 등으로 변형되며 네티즌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라옌징은 직역하면 눈을 맵게 한다는 말이다. 어떤 사람의 행동을 ‘차마 눈뜨고 못 보겠다’는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중국 웨이보(微博) 등 SNS 플랫폼을 통해 네티즌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회자됐다. 

올해 중국 네티즌들이 많이 사용한 용어 취안스타오루(全是套路)에서 타오루(套路)는 본래 체계적 전술, 방법 등을 의미한다. 인터넷 상에서는 특히, 남녀 사이에서 어떤 수작이나 술책(우리말로 작업에 해당)을 쓴다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모든 게 수작(全是套路), 수작부리지 말고 좀더 진지해지자(少一點套路,多一點真誠)라는 말로 응용돼 쓰인다.

워아이워자(我愛我家) 속 배우 거유(葛優.좌)와 란서우샹구(藍瘦香菇.우). <사진=바이두>

거유탕은 1993년 방영된 중국 시트콤 워아이워자(我愛我家) 17,18회에서 중국 국민배우 거유(葛優)가 쇼파에 거의 눕다시피 앉아있는 스틸컷을 한 네티즌이 캡처해 배포하면서 유행하게 됐다. 이는 중국에서 이모티콘, 짤방(첨부이미지) 등으로 활용,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란서우샹구는 너무 괴롭고 힘들어, 울고 싶다는 뜻을 표현하는 용어다. 이 표현은 올해 10월 광시(廣西)성 난닝(南寧)시에 사는 웨이융(韋勇)이라는 이름의 남성이 실연을 당한 뒤 촬영한 동영상에서 유래됐다.

당시 이 남성은 동영상을 통해 독백으로 난서우,샹쿠(難受,想哭∙힘들다,울고싶다)라는 말로 당시의 괴로움을 표현했다. 하지만, 그 의도와는 달리 장족(壯族) 언어인 좡위(壯語) 사투리 억양 때문에, 그 말은 란서우샹구(藍瘦香菇∙파랗고 가는 버섯)로 들려 웃음을 자아냈다. 이 동영상은 삽시간에 네티즌들 사이에서 공유됐고, 이 남성은 하루 아침에 왕훙(網紅∙인터넷스타)으로 떠올랐다. 파란색 버섯에 남성의 얼굴을 합성한 사진과 함께 란서우샹구는 '힘들고 울고싶다'는 뜻의 인터넷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올해 중국 SNS에서 '라오쓰지'라는 말도 유행을 탔다. 본래 라오쓰지는 경력이 많은 베테랑 택시 기사를 뜻하는 말인데,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어떤 커뮤니티 안에서 오래 활동하거나, 한 방면에 풍부한 정보력을 갖고 있는 ‘고수 또는 달인’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베테랑 기사님에게 길을 알려달라고 부탁하다(求老司機帶路)라는 말이 인터넷에서는 “고수님! 정보좀 알려주세요” 라는 뜻으로 통용되고 있다.

리하이러워더거는 직역하면 “대단하다, 우리 형(오빠)”이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능력을 칭찬하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이다. 이 표현은 중국 텐센트가 개발한 대표적 인기 모바일 게임인 ‘왕자영요(王者榮耀)’에서 한 중학생이 게임을 하면서 입버릇처럼 상대 게임 플레이어의 실력에 감탄하며 터트린 말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오빠(哥)라는 단어는 언니(姐姐) 등으로 바꿔 “대단하다, 우리 언니”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