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국민연금 정보가 40% 해당
[뉴스핌=김지유 기자] 통신비·건강보험·국민연금 등 납부실적을 제출한 소비자 5500명의 신용등급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5만6000여명은 신용등급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등급 내 신용평점이 상승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월21일부터 11월30일까지 6만5396명이 11만116건의 통신·공공요금 납부 실적자료를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중 85.7%에 해당하는 5만6054명의 신용평점이 상승했고 5553명은 신용등급도 상승했다. 신용등급 상승자 중 29%는 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 6등급까지 올랐다.
![]() |
<사진=금융감독원> |
제출서류 중에는 건강보험(4만5236건, 41.1%) 및 국민연금(4만4747건, 40.6%)의 납부실적 정보가 대다수였다.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 납부실적의 경우 신용평가(CB)사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제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통신요금(1만4817건, 13.5%) 납부실적의 경우, 팩스 등으로 직접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출 실적이 저조했다.
금감원은 더 많은 금융소비자의 혜택을 위해 내년 상반기중 정보축적 및 모니터링 등 통계 분석방안을 개선할 방침이다.
동시에 납부실적 보유기관(통신회사, 공공기관)이 정보 제공에 동의한 소비자의 납부정보를 CB에 직접 제공하는 방안을 해당기관과 계속 협의할 예정이다. 현재는 소비자가 매 6개월마다 납부실적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뉴스핌 Newspim]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