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개사 D등급 받아 법정관리
[뉴스핌=김지유 기자] 176개 중소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돼 수술대에 오르게 됐다. 이들 중 105개사는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어 법정관리에 들어간다.
금융감독원이 6일 발표한 '2016년도 중소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미만 기업(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했다.
평가 결과 작년(175개사)보다 1곳 많은 176개사(C등급 71개사, D등급 105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금감원 신용감독국 이종오 팀장은 "지난해 대비 증가 폭이 미미한 것은 지난해부터 국내 경기부진이 지속되면서 선제적·적극적 구조조정 추진을 위한 엄정 평가를 실시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C등급 기업은 채권단공동관리(워크아웃)를 통한 경영정상화 절차에 들어간다. D등급 기업은 회생절차(법정관리)를 통해 부실부분을 정리하게 될 예정이다.
다만 이들 기업들이 3개월 내 직접 신청을 해야 구조조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기업이 정당한 사유 없이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경우 주채권은행은 ▲신규여신 중단 ▲만기 여신회수 ▲여신한도 및 금리변경 등 조치를 하도록 할 방침이다.
![]() |
<사진=금융감독원> |
업종별로는 제조업 중 금속가공품제조업(22개사)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전자부품제조업(20개사), 기계장비제조업(19개사), 고무·플라스틱제조업(14개사) 등 순이었다.
비제조업에서는 경기침체에 따른 내수부진 등으로 유통업(8개사), 부동산업(7개사), 스포츠서비스업(5개사) 등이 많았다. 특히 스포츠서비스업에는 회원제 골프장 4개사가 포함돼 경기가 침체됐음을 방증했다.
5대 경기민감업종인 조선·건설·석유화학·철강·해운 관련 기업은 총 26개사로 전체 구조조정대상 기업의 14.8%를 차지했고 조선업(7개사), 석유화학(5개사), 철강(5개사), 해운(3개사) 등 순이었다.
금감원은 채권은행의 이번 신용위험평가의 적정성을 파악하고 평가결과의 사후관리를 위해 이달 중 외부전문기관(신용평가사)과 공동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구조조정대상 선정은 금감원과 채권은행들이 지난 7월부터 신용공여액이 50억~500억원인 1만9000여개의 중소기업 중 재무구조가 취약한 2035개사를 선정해 세부평가를 진행한 결과이다.
세부 평가 대상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한 해 동안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함) ▲3년 연속 영업활동 현금흐름 적자 ▲완전 자본잠식(부채 > 자본) ▲자산건전성 요주의 이하 등급 등에 해당하는 곳이다.
[뉴스핌 Newspim]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