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지현 기자] NH투자증권은 지난 17일 발표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기준 완화보다 금리 상승이 보험사에 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IFRS17은 부채를 시가평가 하는 것이 골자로, 오는 2021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한승희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18일 보고서에서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IFRS17에서 보험사들이 계약서비스마진(CSM, 계약으로부터 발생하는 보험사의 장래이익)을 공정가치법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며 "바뀐 산출 방식에 따르면 CSM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새 회계기준에서는 미래에 발생할 이익인 CSM은 모두 부채로 잡힌다. 과거 고금리 확정형 상품을 많이 팔았던 보험사들은 부채가 급증하게 되는데, 만약 공정가치법을 적용하면 회계제도 도입 시점의 마진율로 미래 이익을 계산할 수 있어 미래이익 규모가 줄어든다. 따라서 부채 부담 역시 줄어들게 된다.
한 애널리스트는 "다만 자본확충에 대한 고민(증자, 후순위채, 영구채 발행 등)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라며 "오히려 최근 장기 금리 급등으로 할인율이 떨어지고 있는데, 이에 따른 부채 가치 상승 폭이 줄어드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더욱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 애널리스트는 재무회계상 부채로 계산되는 CSM이 감독회계규정에서는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으로 포함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의 자본규제인 솔벤시 2(Solvency 2)에서도 CSM을 자본 범주에 포함시킨 바 있다.
![]() |
[뉴스핌 Newspim] 이지현 기자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