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저널 그날'이 경순왕과 마의태자에 대해 다룬다. <사진=KBS '역사저널 그날' 홈페이지> |
'역사저널 그날'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과 마의태자의 기구한 인생사 재조명
[뉴스핌=정상호 기자] KBS ‘역사저널 그날’이 신년 인물열전 5부작 제5편을 맞아 신라의 최후 경순왕과 마의태자를 다룬다.
31일 밤 10시30분 방송하는 ‘역사저널 그날’에서는 신라 마지막 임금 경순왕과 그의 아들 마의태자의 생애를 들여다본다.
이날 ‘역사저널 그날’은 1000년 역사를 자랑하던 신라의 멸망 앞에 부자가 각각 다른 길을 걷게 되는 과정에 집중한다. 신라의 운명을 둘러싼 두 사람의 엇갈린 선택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도 ‘역사저널 그날’이 추적한다.
‘역사저널 그날’ 제작진은 927년 신라, 후백제의 견훤이 경주를 습격한 사건을 통해 망국의 전조를 살펴본다. 포석정에서 연회를 즐기던 신라 제55대 경애왕은 갑작스러운 침탈에 대비하지 못하고 견훤의 핍박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이후 견훤은 직접 왕위에 오르지 않고 새로운 이를 왕으로 세우는데 그가 바로 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이다. 당시 3대째 박씨계 인물이 왕위를 이었던 신라는 김씨인 경순왕이 왕위에 오르자 혼란에 빠진다.
‘역사저널 그날’은 신라가 저물고 고려가 태동하는 과정도 그린다. 930년, 고창 전투에서 승리한 고려는 한반도의 최강자로 떠오른다. 이후 경순왕의 청으로 3개월간 신라에 머무른 고려의 태조 왕건은 경순왕과 신라 관료들에게 각종 물품을 선물하며 민심을 사로잡는다.
이날 ‘역사저널 그날’에서 주목할 인물은 마의태자다. 신라 멸망과 함께 기록에서 완전히 사라진 마의태자는 강원도 인제 부근에 구체적인 이야기가 전해진다. 마의태자가 의병을 모아 신라 재건을 도모했다는 맹개골, 의병 활동에 필요한 군량미를 모아뒀다고 해 이름 붙여진 군량리, 국권 회복에 대한 의지가 담긴 다무리까지 마의태자의 숨결이 살아있는 지역을 살펴본다.
신년 기획 고대사 인물 열전 마지막 주인공인 경순왕과 마의태자 이야기는 31일 ‘역사저널 그날’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정상호 기자 (uma8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