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2015 중국] 풍자어에 담긴 2015년 A증시 빅뉴스

기사입력 : 2015년12월31일 10:01

최종수정 : 2015년12월31일 10:01

[뉴스핌=강소영 기자] 2015년 중국 증시는 상하이지수 기준으로 5000포인트대와 2000포인트선을 오가는 극심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 상반기 무서운 기세의 불마켓을 보인 중국 증시는 6월 정점을 찍고 가파른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다. 이런 주가 급등락 변동장세에 따라 A주 시장에 몸을 담은 투자자들 사이에선 상반기 환호가 6월 중반이후 비명으로 바뀌었다.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자들이 쏟아낸  풍자어를 통해 2015년 한해 중국 증시의 주요 이슈를 짚어본다.  

1. 돈 많은 '은행의 큰 엄마'는 하고 싶은대로 (央媽”有錢任性")

중국에서는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융권의 엄마'라는 뜻에서 '양마(央媽)'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올해들어 인민은행이 각각 다섯 차례에 걸쳐 지급준비율과 금리 인하를 인하했다. 그 영향으로 1년 만기 대출금리는 6%에서 4.35%까지 내려갔고, 저축 기준금리는 1.5%까지 하락했다.

중국에서 인기가 있는 핀테크 금융상품의 수익률로 3% 이하로 하락했다. 저금리 기조는 기업 자금 조달 비용 절감과 부채가 많은 개인에게는 매우 반가운 일이지만, 각종 재테크 상품에 투자한 개미 투자자는 수익률 하락으로 씁쓸해했다.

많은 개미 투자자들 사이에서 "돈 많은 양마가 너무 제멋대로야"라는 말이 큰 공감을 얻게 된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2. "아기(개미 투자자)가 깜놀했어요!"(寶寶嚇死了)

2015년 6월 15일은 중국 자본시장 역사에서 두고두고 회자가 될 역사적인 날이 됐다. 상반기 무서운 기세의 불마켓장에서 상하이종합지수가 5178.19포인트(6월 12일 장중 최고가)까지 치솟다가 이날을 기점으로 폭락세에 접어들었기 때문. 한 달도 안되서 상하이지수는 3500포인트대(7월 8일 3507.19포인트)까지 고꾸라졌다. 8월 26일에는 장중 2850.71포인트(연중 최저치)까지 폭락하면서 시장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가파른 주가 상승에 빚을 내서 주식에 투자하던 많은 '개미' 투자자들은 주가 폭락 속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됐다. 많은 개미 투자자들은 "아기(개인 투자자)가 놀라 쓰러졌다"는 유행어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게 됐다.

3. 위국호판(為國護盤,국가를 위해 시장(증시)을 사수한다)

지난 6월 발생한 중국 증시 폭락 당시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된 유행어다. 중국정부가 나서 증시를 부양해야 한다는 강한 요구와, 당국의 잇따른 증시 부양 실패를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중국 동방재부망에 따르면 지난 6월 이후 중국증시에서 2달간 33조4000억위안이 증발했다. 이과정에서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손실액도 4만3700위안까지 불었다.

당시 언론을 통해 공개된 증시 폭락 비관 자살 사고만 30건에 달했다. 중국 길거리에는 ‘투신자살하지 말라’는 현수막도 내걸렸다.

<사진=바이두(百度)>

 

4. 가만히 있으면 안죽어(No "作“ No Die)

인터넷 상에서 쉬샹의 체포 당시 사진으로 불리는 사진 <출처=바이두(百度)>

주식시장 폭락의 충격이 가라앉을 무렵 중국 금융계에서는 유력 인사와 관료들이 줄줄이 부패 혐의에 연루돼 조사를 받거나 낙마했다. 일부는 조사 과정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기도 했다.

특히 7월 A주 구제작업에 참여했던 21개 증권사 중 14개 사가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의 조사를 받았다. 이 중 '화(禍)'를 면한 증권사는 절반에 불과하다.

사모펀드 업계의 대부로 불리는 쉬샹(徐翔)은 주가조작 혐의로 체포됐고, 수갑을 찬 모습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초라한 사진만 남긴 체 금융권에서 사라졌다.

11월 3일 기준 증권사 21개를 포함해 비위행위 혐의로 감독 당국의 조사를 받는 금융기관은 모두 31개에 달한다.

사상 유례 없는 금융권 사정한파에 시장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숨죽이고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웃지 못할 유행어가 나돌았다.

5. "날(미국 연준) 원망하니"(怪我咯)

2015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글로벌 시장의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금리인상 기대로 미국 달러 가치는 올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고, 12월 16일 금리인상이 최종 결정되면서 미국 달러의 평가절상 기대감은 더욱 높아졌다.

이와 반대로 위안화와 중국 시장은 위축되고 있다. 국제유가도 올해 35%가량 떨어졌다. 이에 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을 원망한다는 우스개 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6. 종목 선택도 '얼굴'이 중요해(選股要看“顏值”)

주식발행등록제 추진이 본궤도에 올랐다. 국무원 등 주요 기관은 주식발행등록제 시행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규제 철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주식발행등록제는 A주 시장에 일대 변혁을 불러올 전망이다. 특히, 신주공급이 원활해 지면서 '가치투자' 풍토가 확립될 수 있다.

신주공급이 부족했던 지금까지는 신주라면 무조건 투기자금이 몰렸지만, 앞으로는 실적과 성장성이 보장되는 종목의 선별이 특히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 때문에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선 "앞으로 주식을 고를때는 '얼굴 생김새'를 잘 따져봐야 한다"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7. 조용히 세뱃돈이나 기다리겠어(我想靜靜地等紅包)

2014년 텐센트의 SNS플랫폼 웨이신(위챗)은 모바일 훙바오(紅包, 세뱃돈)를 출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웨이신을 통해 지인 혹은 불특정 다수에게 소액의 세뱃돈을 전달할 수 있는 이 상품은 중국 명절의 신풍속도로 자리잡았다.

이는 중국에서 최대 인기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중앙 관영 CCTV의 설날 '춘완(春晩)' 프로그램에까지 도입돼 2015년 중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모바일 훙바오는 모바일 결제 시장 성장을 더욱 촉진했고, O2O시장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 중국 금융권과 산업계 발전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말연시가 다가오면서 중국 인터넷에서는 "조용히 않아 모바일 훙바오나 받겠다"는 유행어가 돌고 있어, 2016년 모바일 훙바오 주고받기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사진=바이두(百度)>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사진
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내란 특검(특별검사)'이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에 2차 소환조사 일자를 다시 통지했다. 특검팀이 다시 통지한 일자는 오는 5일 오전 9시다. 박지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이 금일 특검 출석에 응하지 않고 불응했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하라고 통지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5일 오전 9시 출석하지 않는 경우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전날 윤 전 대통령 측이 제출한 의견서에서 5일 이후 출석에는 응하겠단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만약 그때도 출석에 응하지 않으면 요건이 다 갖춰진 이상 법원에서도 (체포영장을) 내주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특검보는 특검이 재통보한 일정에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1:2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