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만불 투자한 아주프런티어, 지분 팔고도 잔금 못받아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30일 오전 10시 1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고종민 기자] 중국 부동산 투자에 나섰던 아주그룹이 현지 부동산시장 악화로 투자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주그룹은 지난 2007년 문규영 아주그룹 회장 주도로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아파트, 오피스텔 등 분양사업에 나섰지만 상당규모의 투자금을 아직 회수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측은 내년 상반기내에 투자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아주그룹이 중국 부동산 사업 투자로 본 손실액은 155억원 수준. 미지급 이자분까지 합치면 미회수액이 250억원을 넘어선다.
아주그룹이 중국 부동산 투자사업에 나선 것은 지난 2007년이다. 아주그룹 계열사인 아주프론티어(최대주주 아주산업 91.80%, 문규영 4.10%, 문윤회 4.10%)가 2007년 8월 3000만 달러(당시 환율 기준 취득원가 279억원, 작년말 장부금액 395억원)를 투자해 중국 현지 부동산 개발업체인 아산방지산개발유한공사를 설립했다.
초기엔 중국 현지 정부의 신속한 승인으로 일사천리였다. 2005년부터 중국 진출을 준비해온 문 회장이 지난 2007년 중국 라오닝성 인민정부 부비서장 등 현지 주요 핵심 관계자와 직접 회담을 갖는 등 중국 진출을 진두 지휘했고, 그룹 내 의사결정도 빠르게 진행되며 사업에 탄력이 붙었다.
첫 작품은 2008년 초 추진된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등 총 1500 가구의 아파트 단지 개발. 선양시로부터 토지사용권(한국 기준 약19만㎡, 5만7000평)을 낙찰받고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됐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세계를 강타하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이 타격을 받았다. 당시 개발 중이던 대규모 오피스텔과 아파트가 아직까지 미분양 물건으로 남아 있는 상황이다.
![]() |
이에 아주프런티어는 2012년 '시양인터내셔널인베스트먼트코리아'(이하 시양인터내셔널)에 보유 중이던 지분(75%) 일체를 매각했다. 시양인터내셔널은 홍콩계그룹을 모회사로 둔 외국인 투자기업이다.
매각 당시 아주프론티어는 아산방지산개발유한공사의 거듭된 유상증자로 지분 76.9% 가량을 보유한 상태. 당초 매매 계약금은 342억원 규모다. 당시 계약서에 따르면 시양인터내셔널은 계약일로부터 3개월내 매매대금을 지급하지 못할 경우 월 2% 연체이자를 원금에 가산키로 했다.
아주프론티어는 하지만 2012년 지분매각 당시 167억9000만원을 받았고 이후 20억원을 추가회수하는데 그쳤다. 결국 시양인터내셔널의 미지급 금액은 155억원이며 연체이자금은 100억7100만원(2014년말 기준)에 달한다.
결국 아주프론티어 측은 지난해 말 잔여미수금을 대손충당금으로 인식(불가능 회수금 판단으로 손실처리)했다. 아주그룹 측은 "현지 투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일부 자금을 회수했다"며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최대한 회수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답했다. 이어 "회계 및 법무팀에서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매수자 측과 지속적인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추가적인 투자금 회수 가능성은 분양 완료 여부다. 시양인터내셔널이 분양을 완료해 자금을 확보하면 대금 잔여분을 입금하기로 돼 있다.
물론 해당 개발 프로젝트 지분이 아직 있어 미분양이 해소되면 이익이 발생할 가능성도 남아있긴 하다. 아주프론티어는 2009년 146억원을 들여 요녕청남투자유한공사를 설립(지분율 100%)했고, 후속 투자(아산방지산개발유한공사 유증 참여)를 했다. 현재 요녕청남투자유한공사는 아산방지산개발유한공사 지분 25%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 |
아주프론티어에서 자회사 아산방지산개발유한공사를 통해 추진했던 중국 선양시 아파트 개발 사업. 현재 상당수의 세대가 미분양 상태이며, 아산방지산개발유한공사는 시양인터네셔널인베스트먼트코리아로 매각됐다. |
■ 용어설명
* 취득원가와 장부금액 : 취득원가는 취득시의 금액이다. 장부금액은 장부에 최초기록시 취득원가로 기록했다가 감가상각이나 공정가액의 변동으로 취득원가에서 가감된 금액이다.
[뉴스핌 Newspim] 고종민 기자 (kjm@newspim.com)